서울시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인한 디지털 격차가 심화됨에 따라 맞춤형 디지털 역량 교육 운영과 교육-일자리 연계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으로 스마트 포용을 실현하고자 디지털 역량강화 추진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정책비전
4대 추진전략
추진전략 | 내용 |
'바로 곁에서', 밀착형 교육을 통한 역량 향상 |
|
'(내게) 딱 맞는' 수요자 맞춤의 교육콘텐츠 제공·확산 |
|
'동네 곳곳에' 지역 기반의 교육환경 마련 |
|
'함께 지속적으로' 교육-일자리 연계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 |
|
15개 전략과제
1. '바로 곁에서', 밀착형 교육을 통한 역량 향상
- 교육 수요처를 찾아가는 1:1 과외식 디지털 교육 운영
- 디지털 교육 환경이 완비된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버스' 운영
- 로봇 활용 디지털 교육 활성화
2. '(내게) 딱 맞는' 수요자 맞춤의 교육콘텐츠 제공·확산
- 실생활 활용 중심의 서울형 특화 교육과정 발굴·운영
- 어르신 맞춤형 디지털 포용 콘텐츠 운영
- 유튜브 기반 동영상 교육 콘텐츠 제작·확산
- 어르신 대상 AI튜터 기반 역량진단 모델 개발('22.7월) 및 시범적용('22.하반기)
3. '동네 곳곳에' 지역 기반의 교육환경 마련
- 지역밀착형 디지털 교육장 지정 및 상설 운영
- 사회복지시설 공공와이파이 설치를 통한 디지털 환경 제공
- 어르신 디지털 공간 시니어 디지털 센터(전용교육장) 조성
- 키오스크(무인정보단말기) 체험존 확대
4. '함께 지속적으로' 교육-일자리 연계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
- 찾아가는 '디지털 안내사' 운영
- 동년배의 눈높이 교육, '어디나 지원단' 운영
- 디지털 배움터 강사 및 서포터즈 선발
- 민관 협력을 통한 디지털 포용체계 확립
※ 본 계획은 2022년도 수립 계획으로 2023년도 계획 수립시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