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와 함께 하기 위한 서울시의 약속. 약자동행지수.
‘약자동행지수’는 약자를 위한 서울시의 노력이 실제로 시민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수치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책개발과 예산편성 등에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약자정책 평가 수단입니다.
날로 심각해지는 사회양극화와 불평등 상황 속에서 모든 정책을 약자 우선으로 추진하여 생계, 주거, 의료, 안전, 교육 등 생활영역에서 사회적 위험을 조기에 발굴하여 사각지대는 없애고 정책효과는 끌어 올리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약자동행지수는 약자와의 동행 정책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도록 스스로 다잡아 나가려는 서울시의 대시민 약속이자 적극행정의 의지이기도 합니다.
약자동행지수는 돌봄, 주거 등 새롭게 대두되는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청년 등 미래세대부터 취약계층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 주고, 마음을 보살피며, 끼니조차 챙기지 못하는 취약계층 어르신들의 건강을 돌보는 등 생활 영역별로 취약한 시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담고 있습니다.
약자동행지수는 돌봄, 주거 등 새롭게 대두되는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청년 등 미래세대부터 취약계층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 주고, 마음을 보살피며, 끼니조차 챙기지 못하는 취약계층 어르신들의 건강을 돌보는 등 생활 영역별로 취약한 시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담고 있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 전문가 및 이해관계인 등 200여명과 20회 이상의 논의를 거쳐 신중하게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수’가 삶의 질 개선을 확인하는 잣대로 활용되도록 지속적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지표 보완 등 지수의 신뢰도와 정확성을 높여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세부 지표값과 지수는 매년 산출과정을 거쳐 다음해 상반기에 발표하고, 홈페이지에 상시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일생에 한번은 약자가 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거나 질병에 걸려서 또는 불가피한 상황 발생 등으로 어떤 이유로든 누구나 약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자와의 동행은 어떤 특정 대상을 위한 정책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의 문제이며, 함께 헤쳐 나가야 할 과제입니다. 약자동행지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평가의 수단이자 방향을 제시해주는 등대의 역할을 해나갈 것입니다.
약자동행지수 체계
(약자동행지수[종합지수], 6대 영역별 지수, 10대 중점과제, 50개 지표)
생계·돌봄
- 1. 취약계층의 자립지원으로 생계사다리 복원
- 2. 돌봄취약계층 대한 안전망 확대로 회복력 제고
- 1-1. 안심소득 지원가구의 일에 대한 만족도
- 1-2. 저소득층 자산형성 유지율
- 1-3. 고용지원을 통한 취·창업률
- 1-4. 노동약자의 생계활동 지원 규모
- 1-5. 위기 소상공인 발굴·지원 규모
- 1-6. 위기가구 지원율
- 2-1. 영유아기 틈새돌봄 제공률
- 2-2. 재가돌봄 이용 노인의 규모
- 2-3.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장애인의 규모
- 2-4. 가족돌봄청년의 복지서비스 연계 규모
- 2-5. 노숙인 규모
- 2-6. 돌봄서비스 품질 만족도
주거
- 3. 주거취약계층과 미래세대를 위한 주거사다리 복원
- 3-1. 공공임대주택 재고 수
- 3-2. 취약계층 맞춤형 주택지원 규모
- 3-3. 주거취약가구의 주거환경 개선 규모율
- 3-4.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 규모
- 3-5. 노후 공공임대주택의 품질개선율
- 3-6. 청년의 주거비 과부담 가구 비율
의료·건강
- 4. 소외계층 건강격차 완화
- 5. 정신건강 취약계층 건강회복 촉진
- 4-1. 건강취약계층 방문 건강관리 지원 규모
- 4-2. 장애친화적 의료기관 확보 규모
- 4-3. 치매환자 사례관리율
- 4-4. 지역보건기관 확충 규모
- 4-5. 병원동행서비스 지원 규모
- 4-6. 취약계층의 식품 미보장률
- 5-1. 자살 고위험군 관리율
- 5-2. 아동청소년·청년의 마음건강 지원 규모
- 5-3.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관련 등록관리율
- 5-4. 마약중독자의 치료 재활 지원 규모
교육·문화
- 6. 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동등한 교육기회 확대
- 7. 문화지원 확대로 문화여가 접근성 강화
- 6-1. 취약계층아동의 학습역량 수준
- 6-2. 교육소외계층 맞춤형 지원 규모
- 6-3. 취약계층 재능개발 지원 규모
- 6-4. 학교 밖 청소년 맞춤형서비스 지원율
- 6-5. 디지털취약계층의 디지털기기 활용 역량 수준
- 7-1. 사회적 약자의 문화활동 참여 비율
- 7-2. 공공 공연장에서의 무장애(배리어 프리) 공연 비율
- 7-3. 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조성 규모
안전
- 8. 안전취약계층 지원 및 선제대응 통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 9.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 증진
- 8-1. 아동학대 피해아동 발견율
- 8-2. 범죄 등 피해자 서비스 지원 규모
- 8-3. 고독사 예방 모니터링 규모
- 8-4. 고립은둔청년 발굴∙지원 규모
- 8-5. 안전취약가구 예방지원 규모
- 8-6. 범죄예방 CCTV 설치율
- 9-1.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이용 만족도
- 9-2. 장애인 대중교통 이용 규모
- 9-3. 교통약자의 보행 교통사고 발생률
사회통합
-
- 10. 시민동행을 통한 사회결속 강화
- 10-1. 다문화 구성원의 사회소속감
- 10-2. 서울시민의 자원봉사 참여율
- 10-3. 서울시민의 기부 경험률
- 10-4. 서울시민의 동행 인식 수준
- 10-5. 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기관 정보접근성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