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명정보란?
개인정보를 가명처리 함으로써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 정보의 사용·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
관련근거
-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2~7 및 시행령 제29조의3~6
-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개인정보보호위원회, ’22.4.)
- 공공분야 가명정보 제공 실무안내서(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1.1.)
- 서울특별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조례 제13조의2(2022.7.)
가명처리의 필요성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성장 동력인 ‘데이터’ 활용에 대한 법적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다양한 산업에서 가명정보 활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안전한 데이터 활용 환경을 마련
가명처리 목적 및 대상

통계작성
특정 집단이나 대상 등에 관하여 작성한 수량적인 정보

과학적 연구
기술의 개발과 실증, 기초연구, 응용 연구 및 민간 투자 연구 등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열람할 가치가 있는 기록정보를 보존하는 것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