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21세기의 원유’로 불리는 빅데이터를 행정, 산업, 도시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의 첫 단계로 ‘빅데이터 통합저장소’(S-Data, Smart Seoul Data)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 서울시는 시가 보유한 방대한 양의 공공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하는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를 '21년까지 구축한다. 올해 109억 원을 시작으로 3년 간 총 289억 원을 투입한다.
□ ‘빅데이터 통합저장소’에서는 교통·시설·복지 등 서울시가 보유하고 있는 518종 시스템의 ‘행정데이터’와 IoT센서(S-Dot)에서 수집하는 ‘도시데이터’를 수집·저장하고 분석·처리한다. 총 데이터 용량은 약 4 Peta Byte로, 1GB(기가바이트) 용량의 영화 약 4백만 편 규모와 맞먹는 방대한 양이다.
○ 기관·부서별로 분산돼 처리되고 있는 모든 공공데이터 수집·관리를 일원화해 활용도 높은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생산·활용·개방한다는 목표다.
○ 서울시는 그동안 ‘열린데이터광장’을 통해 총 5,400여개('12.~'19.10.)의 데이터셋을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행정데이터가 각 기관, 부서별로 저장·관리되는 칸막이 구조로 인해 데이터 표준화와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아 실제 활용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 4 Peta Byte = 4,000 Tera Byte = 4,000,000 Giga Byte
□ 통합저장소에 수집된 모든 공공데이터는 교통, 안전 등 각종 서울시 정책과 시민체감도 높은 공공서비스 개발을 위한 과학적 자료가 된다. 예컨대, 한옥 등 건축물 정보와 의료기관·소방시설·구급차 정보 등 데이터를 융합해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화재나 응급구조 준비에 활용할 수 있다.
□ 행정뿐 아니라 기업과 시민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열린데이터광장, 빅데이터캠퍼스, 디지털시민시장실 등을 통해 개방된다. 특히, 민관공동 빅데이터 협력으로 제작하고 있는 융복합 데이터는 디지털 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예컨대, 공공의 지하철·버스 이용정보, 부동산 정보와 민간의 통신사 유동인구, 점포매출 데이터 등을 결합해 서울시내 상권별로 발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상권발달지수’를 개발할 수 있다. 이 지수를 향후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이나 우대서비스 제공시 지표로 활용해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서민경제 활성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 서울시 ‘빅데이터 통합저장소’(S-Data)는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 ‘도시데이터 센서’(S-Dot)와 함께 스마트시티 서울을 이끌어갈 주요 3대 인프라 축으로 추진한다.
○ 서울시는 4차 산업혁명을 도시행정에 접목하는 ‘스마트시티’ 실현을 위해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와 도시데이터 센서(S-Dot)를 구축하는 하드웨어 인프라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발달과 함께 교통·안전 등 대량의 도시데이터가 발생하면서 데이터 수집·유통·활용 정책이 요구되고, 민·관의 활발한 스마트서비스 개발로 인한 데이터량 폭증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는 취지다.
* S-Data (Smart Seoul Data)
스마트시티 서울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처리하는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 S-Net (Smart Seoul Network)
모세혈관식 자가통신망 ‘S-Net(스마트 서울 네트워크)’을 구축해 ‘공공 와이파이’와 ‘공공 사물인터넷(IoT)’ 망으로 활용
* S-DoT (Smart Seoul Data of Things)
서울 전역에 2,500 개의 센서를 설치해 도시현상(미세먼지, 소음, 바람, 야간 빛 세기 등)과 시민행동(유동인구, 차량이동 등) 데이터 수집
□ 이렇게 되면 시민 수요에 맞는 최적의 정책을 수립하는 스마트 행정을 실현하고,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민간과 함께 공유 활용함으로써 데이터 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빅데이터 통합저장소(S-Data) 인프라 체계도 >
□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는 공공데이터 저장·활용을 위한 일원화된 통합관리 체계와 막대한 양의 원천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하는 물리적 인프라(Data lake)로 구성된다. 각 기관, 부서 간 데이터 연계·활용의 장벽을 없애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데이터의 양과 품질을 대폭 개선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모든 데이터는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될 수 있도록 원시데이터 형태로 저장·제공된다.
< 빅데이터 통합저장소의 개념 >
○ 빅데이터 통합관리 체계(데이터 거버넌스)
- 내·외부 데이터 시스템의 수집·저장·활용을 위한 일원화된 데이터 관리체계
○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인프라(Big Data Lake)
- 막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본연의 형식 그대로, 필요시까지 보관하는 물리적 공간
□ 이를 위해 우선 실·국·본부 및 산하기관과 ‘데이터 거버넌스 통합관리 체계’를 구축, 메타데이터 관리,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를 통해 활용도 높은 데이터를 서비스할 예정이다.
○ 데이터 접근 및 수집 권한 관리 일원화를 위한 CDO(Chief Data Officer) 체계를 수립하여, 메타데이터 관리,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를 통한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생산하고 유통함으로써 데이터 분석·활용을 통한 과학행정과 민관융합 기반을 마련한다.
○ 아울러 서울시 데이터정책 심의·평가를 위한 빅데이터 심의위원회 기능을 강화해 안전한 공공데이터 수집 및 활용 심의를 할 예정이다.
□ 또한 행정데이터 및 도시데이터의 통합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는 만큼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안전체계를 구축, 안정성과 활용성의 균형을 맞출 예정이다.
○ 데이터 수집단계에서부터 엄격한 접근권한 관리 기준을 적용하고, 비식별화 기술을 적용하여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는 모두 비식별화 조치를 거친 후에 저장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외부 개방 전, 데이터 공개여부 식별을 위해 사전협의절차를 수행하고, 개인정보 재식별 위험평가를 위한 ‘민간 위원회’를 구성해서 평가한다.
○ 아울러 시민 데이터 주권 확보를 위한 계획 수립 용역을 금년 10월부터 추진 중에 있으며, 데이터 활용 시 개인정보보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추진할 계획이다.
□ 이와 함께, 열린데이터광장, 빅데이터캠퍼스 등의 인프라도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고도화한다.
○ 열린데이터광장 : 고도화 사업을 통하여 시민들이 보다 쉽게 데이터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최근에 서울생활인구 자료가 집회분석 자료로 활용돼 호평을 받는 등 호응이 높이 분야의 데이터를 지속 발굴, 개방해 서비스 할 계획이다.
○ 빅데이터캠퍼스 : 공공데이터 등 분석 인프라로, 오프라인으로 운영되어 온 빅데이터캠퍼스를 온라인으로도 운영한다는 목표('21년)로 내년부터 관련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또, 빅데이터캠퍼스 활성화를 위해 현재 서울연구원, 서울시립대 등 관련 시 산하기관에 빅데이터캠퍼스 인프라를 연계했으며, 앞으로 데이터 관련 교육기관까지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민관 공동 빅데이터 융복합 : 민간기업 데이터와 공공데이터 결합을 통해 활용도 높은 데이터를 개발하고 있으며, ’20년부터 열린데이터광장을 통해 서비스 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시는 민간데이터 보유 기업과 빅데이터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19.3.)하고, 상권분야 5개 데이터를 개발 중에 있다.
□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서울’ 실현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를 통한 공공데이터 관리 일원화를 추진한다.”며“ 이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행정내부의 혁신과 수준 향상만이 아니라 민간 부분의 창업과 데이터 산업 활성화 등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말했다.
□ 서울시는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구축 계획을 이와 같이 밝히고, 7일(목) 서울시 홈페이지와 국가종합전자조달 나라장터(http://www.g2b.go.kr) 를 통해 구축용역을 위한 사업규격을 사전 공개한다.
○ 이 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나라장터 홈페이지 내 입찰정보 → 용역 → 사전규격공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