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운영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확산 등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다양한 사이버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이버 보안 위협에 선제 대응하고 개인정보 보호 강화하는 등 보안위기에 대한 지속적 대응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보안위기에 대한 지속적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 기능 및 개인정보 보호 활동 강화로 세계 최고의 사이버 안전도시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서울사이버안전센터 운영 현황

근무인원 및 관제장비 | 관제대상(총72개 기관) | 주요기능 |
---|---|---|
|
|
|
인공지능(AI)기반 보안관제시스템 확대 구축
날로 지능화·대형화 추세인 사이버공격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 사이버 보안 환경에 적합한 인공지능(AI) 기반 보안관제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 '21년 시범사업 추진
- 4개 시스템 연동 구축 및 침해사고 예측 모델 개발 (본청 ·사업소 18개기관 적용)

시스템명 | 내용 |
---|---|
위협수집분석시스템 |
72개 보안관제기관의 보안장비에서 탐지된 위협데이터(원시로그)를 수집하여 필터링 및 정규화 |
침해사고예측 머신러닝 시스템 |
지도학습 방식으로 탐지된 공격분류 및 침해사고 가능성 예측
|
침해사고대응시스템 |
보안관제요원이 실시간으로 탐지된 공격유형 및 침해사고 가능성을모니터링하고 대응 |
위협인텔리전스시스템 |
클라우드를 통해 국내외 보안업체 및 연구기관의 각종 위협정보(유해 IP주소, 공격주체별 공격방법, 대응방안 등) 제공 |
- '22년에는 '21년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 및 반영하여 AI기반 보안관제 확대 구축 예정 ( 25개 자치구 포함 54개 기관으로 확대 )
주요사업 추진일정
▪ 서울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운영(‘22.1~’22.12)
▪ 인공지능(AI) 기반 보안관제 플랫폼 구축(‘21~’22)
▪ 사이버공격 대응 모의훈련(‘22.5~’22.8)
▪ 홈페이지 보안취약점 점검 등(‘22.1~’22.6)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