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 여름 장마철이 시작되기 전에 빗물을 모아 땅속으로 보내는 '침투형 빗물받이'와 '침투트랜치'를 주요 침수취약지역에 설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그동안 하수도 공사시 침수예방과 토양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연속형·측면통수형 빗물받이 등 다양한 빗물침투시설을 도입해 설치해왔으며, '13년엔 침투형 빗물받이와 침투트랜치를 도입했다. 올해도 1113개의 침투형 빗물받이와 725m의 침투트랜치를 설치할 계획입니다.
'침투형 빗물받이'와 '침투트랜치'는 기존 빗물받이에 빗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침투통과 투수관이 연결되어 있어 빗물이 땅속으로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시설입니다.
침투형 빗물받이 |
침투 트렌치 |
|
|
이러한 침투형 유입시설 확충은 빗물을 침투시켜 빗물이 저지대에 몰리는 것을 줄이고, 빗물의 순환을 복원하기 위한 시설로써 빗물을 땅속으로 침투시켜 침수피해 및 토양의 자연성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습니다.
시는 우선 지난해 광화문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침투형 빗물받이 103개소를 집중적으로 설치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시는 주요 침수지역 등 빗물받이가 부족한 구간에 ▴빗물받이 1401개소 신설·확대·개량 ▴비닐 등으로 막혀도 빗물유입이 가능한 측면통수형 빗물받이 150개 ▴빗물유입이 쉽도록 연속형 빗물받이 3030m도 설치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시는 자치구에 46억원의 예산배정을 완료했으며, 모든 공사를 올해 우기 전까지 완료합니다. *
광화문 주변 침투형 빗물받이 설치
연속형 빗물받이 설치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