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도시의 빗물 배수구 역할을 하고 있는 서울시내 43만개의 빗물받이에 대해
시민들이 함께 관리에 동참할 수 있도록 관리개선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빗물받이는
- 도로와 주택가 등에서 흘러나오는 빗물을 모아서 하수관으로 유출시키는 시설로써
- 내부에 토사, 낙엽 등 각종 쓰레기가 쌓일 경우 빗물 역류로 인한 침수를 유발한다.
서울시에는 총 432,176개의 빗물받이가 설치되어 있으나 공무원들의 노력만으로는 빗물받이 관리가 어려워 시민들의 참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시는 빗물받이 관리개선으로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 운영
▴막힌 빗물받이 신고시 학생들의 자원봉사시간 인정
▴지역 주민 40,453명을 빗물받이 관리자로 지정하는 등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 운영]
우선,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막힌 빗물받이를 신고할 수 있도록「서울 스마트 불편신고」앱을 만들어 시민이 막힌 빗물받이 사진과 위치를 현장에서 전송하면 해당 구청에서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신고실적이 우수한 시민에게는 표창도 수여할 계획이다.
- [막힌 빗물받이 신고시 학생들의 자원봉사시간 인정]
- 또한, 학생들이 빗물받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학생들이 막힌 빗물받이를 신고하면 자원봉사활동 시간도 인정해줄 계획이다.
- 자원봉사활동 시간 인정은 우선적으로 서울 덕수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시범운영 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시간인정은 ▴완전 막힌 빗물받이는 1건당 10분 ▴부분 막힌 빗물받이는 1건당 5분 ▴ 양호한 빗물받이 신고도 1건당 1분 등의 자원봉사 시간을 인정한다. - [지역 주민 40,453명을 빗물받이 관리자로 지정]
- 마지막으로 시는 지역의 통반장 등 주민 40,453명을 빗물받이 관리자로 지정했다.
- 큰 비가 예보될 경우 이들에게 문자로 통보하여 시민들 스스로 빗물받이를 살펴보고 덮개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시민 협동체계를 갖추었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