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분야 누리집 - 서울특별시





		
		

	 
	
	

물순환 도시로의 탈바꿈 위해 앞장선다

담당부서
도시안전실물관리정책과
문의
2133-3762
수정일
2013.06.19
 
서울시, 물순환 도시로의 탈바꿈 위해 앞장선다
공공건물, 시설 10개소에 빗물관리시설 순차적 도입.. 빗물관리 선도
자연적으로 빗물 흡수되는 침투.저류조, 투수블록, 빗물이용시설 등 다양

 

서울시가 올 한 해 물재생센터나 DDP와 마곡지구 등 시가 관리하는 공공건물 및 시설 10개소에 대해 침투.저류조, 투수블록 등 빗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빗물관리시설을 새롭게 도입한다.

 

예컨대 중랑물재생센터에는 노후한 보도 및 주차장(약600㎡)을 빗물이 스며들 수 있는 투수블록으로 교체하고, 성동도로사업소 청사에는 약50㎥ 규모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해 빗물을 담아둔 후 일정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나 강서구 마곡지구와 같이 새롭게 생긴 공공건물에 대해서도 물순환이 자동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1,300㎥ 규모의 빗물이용시설과 생활오수를 재이용할 수 있는 중수도시설 등을 설치한다.

 

이밖에 자치구에서도 지역의 실정에 맞는 다양한 빗물관리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시가 각 사업당 50%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공공청사나 건물에 빗물관리시설을 도입하고, 올 한 해 동안 순차적으로 완료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립미술관

 

이번 사업은 도로, 주차장, 건물 등 회색 콘크리트로 뒤덮여 있는 서울 도심에서 물이 침투되지 못해 발생하는 복합적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한편, 이에 앞서 서울시는 올해 초 서울시립대학교 학생회관 등 4개소에 120㎥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했으며, 지난 5월에는 서소문청사에 빗물 담는 지붕인 ‘Blue Roof’를, 시립미술관 본관엔 약 5㎥ 규모의 침투.저류조를 시범 도입해 운영 중에 있다.

 

시립대 빗물이용시설

 

<중랑물재생센터, 성동.서부도로사업소에 투수블록 교체, 빗물이용시설 설치>

우선, 시 산하기관 시설인 중랑물재생센터, 성동도로사업소, 서부도로사업소 총 3개소에 현지 여건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시설이 우선 도입된다.

 

중랑물재생센터는 노후한 보도 및 주차장 약600㎡를 빗물이 스며들 수 있도록 7월초까지 투수블록으로 교체하고, 향후 물재생센터 주차장.건물 등에도 단계적으로 물순환 시설을 도입해 빗물을 관리한다.

 

성동도로사업소 청사에는 한 번에 약 50㎥ 규모의 빗물을 담을 수 있는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 모아진 빗물은 향후 도로관리 차량.장비의 청소와 청사 주변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성동도로사업소 빗물이용시설

 

서부도로사업소 청사에도 약 39㎥ 규모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 도로 시설물 및 터널 세척 용수 등으로 빗물을 활용함으로써 수돗물을 절약할 계획이다.

 

<DDP, 마곡지구 등 새롭게 진행 중인 사업에도 물순환 고려한 시설 도입>

또한,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마곡지구 등 새롭게 시행하는 주요시책 사업에도 물순환을 고려한 빗물관리시설 및 물 재이용시설을 도입해 추진 중에 있다.

 

서울 광장 지하에 설치된 437㎥의 빗물저류조에 이어, 작년 10월 입주한 신청사의 경우엔 서울도서관과 신청사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모으는 415㎥의 빗물이용시설과 하루 150㎥의 물을 처리할 수 있는 중수도 시설을 설치 한 바 있다.

신청사 중수도

 

모아진 빗물은 신청사 건물 전 층의 화장실 용수와 건물 주변 조경용수로 활용되고 있어 세계 어느 도시의 공공청사보다 선도적인 물순환 시스템이 운영 중에 있다.

 

새로운 서울의 랜드 마크로 조성되고 있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는 1,300㎥ 규모의 대용량 빗물이용시설과 하루 200㎥의 생활오수를 재이용할 수 있는 중수도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중수도와 모아진 빗물은 화장실용수와 청소.조경용수로 활용해 빗물의 외부유출을 줄이고, 버려지던 물을 이용함에 따라 많은 양의 수돗물을 절약하는 등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울에 마지막 남은 대규모 미개발지인 강서구 마곡지구에도 다양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곡지구 곳곳에 위치한 공원.도로 및 가로변 녹지대 등에는 빗물이 침투할 수 있도록 투수포장을 실시하고, 현재 공사 중인 아파트 단지에도 각각 60㎥ 규모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남 물재생센터에서 처리 후 버려지던 하수처리수를 다시 한 번 더 깨끗하게 처리해 공급하는 재생수 공급사업도 추진 중에 있다.

 

<은평,도봉,노원,관악,금천 등 자치구 청사.문화시설 등 건립시 사업비 50% 지원>

이밖에 시는 청사.문화시설 등 공공시설 건립 시 빗물관리시설을 도입하는 은평, 도봉, 노원, 관악, 금천 5개 자치구에 대해 사업당 사업비의 50%를 지원할 계획이다. 

 

자치구별 지원하는 사업은 은평구 봉산도시자연공원 빗물저류조(150㎥), 도봉구 둘리뮤지엄 빗물저류조(90㎥), 노원구 에코센터 빗물이용시설(3㎥), 관악구 중앙동 복합청사 빗물저류조(약 7㎥), 금천구 빗물펌프장 등(총 10㎥)이다.

 

서울시는 무리한 예산투입을 막기 위해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설물 보수와 정비시기에 맞춰 단계별로 물순환 시설을 도입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 및 공공시설은 우선적으로 물순환 시설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나갈 것이다.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