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야 누리집 - 서울특별시





		
		

	 
	
	

서울시 소매업 중 영세사업체 92.2%, 평균매출액 연 1.9억원

담당부서
서울연구원
문의
02-2149-1276
수정일
2013-07-22
서울연구원(원장: 이창현)은 ‘서울시 소매업의 특성분석과
자생력 강화방안’(정책리포트 제145호)을 7월 16일(화) 발표했다.

 

서울시 소매업은 영세성, 재무성과 열위, 개인사업자 위주, 협소한 매장면적과 낮은 체인화율 등의 특징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0년 서울시 소매업의 사업체당 매출액은 약 6.3억원으로 서비스업 평균의 36%이다. 특히 영세소매업은 1.9억원으로 소매업 평균의 30.6%에 불과할 정도로 매출액이 낮다.
  • 2010년 개인사업체 비중은 91.1%로 유사업종인 도매업(69.2%)이나 서비스업(82.0%) 수준 이상이다.
  • 서울시 소매업의 체인점 가입 사업체수는 2005년 7,522개에서 2010년 8,158개로 연평균 1.6% 증가했으나 체인점 가입비율은 6.8%로 저조하다. 종합소매업의 체인화율은 19.8%로 높지만 체인화 편의점을 제외하면 대부분 2∼3%대에 불과하다.

 

서울시 소매업의 창·폐업구조는 다산다사(多産多死)형이고, 창·폐업 사업체의 대부분이 영세업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  2010년 서울시 소매업의 창업률과 폐업률은 각각 15.3%, 15.5%이고, 창업 및 폐업 사업체수는 각각 18,349개, 18,586개로 도매업의 2.1배, 2.7배 수준이다.
  • 특히 소매업은 지난 10년간 2002년, 2007년 두 해를 제외하고 모두 폐업규모가 창업규모를 상회한다.

 

도매업의 창.페업률 추이

 

 

소매업체의 인구대비 밀집도와 소매업체수의 증감률을 이용해 상권유형을 분석한 결과, 소매업의 사양화 지역은 상대적으로 서북권과 동북권에 많이 포진했다.

  • 영등포구(레드오션), 동작구(사양화지역)를 제외한 서남권은 대부분 진입지속 및 생존유지지역이고, 중구(레드오션)를 제외한 도심권도 생존유지지역에 해당한다.

 

지역별 상권 유형

 

서울연구원은 서울의 영세소매업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 간 연계성을 강화해 시너지효과를 높일 것을 제안했다.

 

서울시 영세소매업의 자생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협동조합을 활용해 영세소매업의 협업화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영세소매업의 상품구성 및 매출증대를 위해서는 슈퍼닥터제의 컨설팅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별 담당제 및 인센티브 도입을 통한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소매업 생태지도의 작성 및 활용을 통해 다산다사형 창·폐업구조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프랜차이즈의 장점을 살리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소셜 프랜차이즈를 육성해 영세소매업의 체인화율을 제고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다섯째, 협업화사업 등을 통해 상권별 특화 및 전문상점을 육성하는 한편, 소매업 종사자 중 전업희망 인력에 대한 전업훈련을 강화해 소매업 병목현상을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