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혼부부가 가정에 대한 계획에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
주거문제 : 31.2%, 양육교육비 : 30.6%, 경제 : 19.1%. 출처 : 서울시, 국토부 주거실태조사. 2017
월급 인상률에 비해 집값 상승률은 턱없이 높은 현실
도시근로자 소득은 2012년 464만원에서 2018년 517만원으로 11프로 오름
주택가격은 2012년 5억원에서 2018년 7.2억으로 44프로 오름
서울 집값 경기도의 두 배인데 지원기준은 동일
서울의 순유출(전입<전출)인구는 자녀를 둔 30대가 가장 높다. 10대미만 : 2.3만명, 자녀를 둔 30대 : 4.2만명, 50대 : 2.4만명. 출처 : 통계청
우리 가족에게 딱 맞는 집과 꼭 필요한 금융지원으로
주요내용 | 달라지는 점 | 비고 | |
---|---|---|---|
1 | 금융지원 확대 연 5,000호 > 10,500호 |
소득기준 : 부부합산 8천만원 이하 → 1억원 이하 이자지원 금리 : 최대 연 1.2% → 3.0% 지원기간 : 최장 8년 → 최장 10년 |
사실혼 부부 첫 포함 |
2 | 주택공급 확대 연 12,000호 > 14,500호 |
신혼부부 매입주택 : 연평균 1,400호 → 3,200호 재건축 매입 : 연평균 1,035호 → 1,380호 역세권 청년주택 : 연평균 2,451호 → 2,751호 |
신규물량 신혼부부 선호입지 중심 |
3 | 자녀출생 시 임대주택 평형 확대 |
추가 임대료 없이 평형 확대 이주 지원 | |
4 | 주거정보 접근성 강화 |
주거지원 원스톱 온라인 포털 11월 말 오픈 ※ 사이트 : http://housing.seoul.go.kr 25개 자치구별 ‘주거지원 코디네이터’ 배치 |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