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마을과 시장을 연결하는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인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사업’에 착수한다. 올해 안에 시범 사업지 2곳을 선정해 2020년부터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은 시장 내 공간의 물리적 시설개선과 시장 상인에 한정됐던 기존 시장 현대화사업 방식에서 탈피해 주거지 내 쇠퇴한 전통시장을 도시재생의 중요한 공간적 요소로 보고 ‘시장 활성화’와 ‘주거지 재생’을 결합해 마을과 시장 간 연계를 강화하는 새로운 유형의 도시재생 사업이다.
□ 서울시는 시범 사업지의 후보지로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 희망지 사업’ 6곳을 지난 15일(수) 선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희망지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기에 앞서 주민·상인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사전단계에 해당한다.
○ 시는 자치구로부터 희망지사업 대상 신청을 받아 심층 평가를 통해 6곳을 선정했다. 평가는 도시·건축 분야, 공동체·사회적 경제 분야, 인문·사회 분야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맡았다.
○ 평가위원회는 ▴주민제안 사업의 적정성 ▴주민공동체 역량과 추진의지 ▴자치구 추진의지 ▴필요성 및 지속 가능성 등 추진 주체인 주민들의 관심과 추진의지 등에 중점을 두고 평가했다.
□ 6곳은 ▴성북구 장위동68-14 일대(장위전통시장) ▴성동구 용답동13-22 일대(용답상가시장) ▴강서구 화곡동370-37 일대(화곡중앙골목시장) ▴강북구 수유동605-248 일대(장미원골목시장) ▴마포구 연남동277-15 일대(동진시장) ▴중랑구 면목3,8동459-1 일대(사가정시장)다.
□ 6개 지역의 전통시장 상인과 배후 주거지 주민들은 마을과 시장이 상생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게 된다. 주민모임 운영, 도시재생 교육, 지역조사 및 의제 발굴 등의 단계를 거쳐 주민이 직접 재생사업을 발굴·제안하고 → 지속성·효율성·파급력과 지역 주민 간 공감대 등을 고려해 각 지역별로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기본구상안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성북구 장위시장 : 뉴타운사업 해제구역인 장위11구역과 재개발이 추진 중인 장위10구역에 걸쳐 있다. 시장 점포 중 약 50%가 재개발 구역에 포함돼 앞으로 철거될 예정으로, 이번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남아있는 시장을 뉴타운사업 해제구역으로 옮겨 재정비한다는 계획이다. 또 시장 상인과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동이용시설을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 성동구 용답상가시장 : 인근에서 추진 중인 도시재생·재개발 사업에서 소외돼 낙후주거지로 남아있지만 기존의 시장상인회가 활발히 운영되고 청계천이 인접해 잠재력을 갖고 있는 상권이다. 시장을 중심으로 마을공동체 거점 공간, 생활용품 공유센터, 어린이 실내 놀이터, 안전골목길 등 조성을 추진하고 청계천변 프리마켓, 야시장 등의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 강서구 화곡중앙시장 : 젊은 신혼부부 층의 유입이 늘고 있는 반면 전통시장의 변화가 이에 미치지 못해 마을재생기업(CRC)을 통해 시장을 젊게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강서구 미라클메디 관광특구와 연계해 허준 특화거리 등 조성을 추진한다.
○ 강북구 장미원골목시장 : 북한산 최고고도 제한지역으로 강북구 내에서도 가장 낙후된 곳이다. 아울러 시장 인근 4.19사거리 일대와 수유1동 일대가 도시재생사업에 지정됐으나 시장은 사업대상에 제외돼 있어 상대적 박탈감이 있다.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낙후된 주거지 환경을 개선하고 음식명가 발굴, 청년몰 유치, 시장 시설현대화 등으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목표다.
○ 마포구 동진시장 : 78년에 지어진 건물형 시장으로 시설이 노후해 기능은 쇠락했으나 최근 청년 공예가들의 프리마켓 장이 되면서 인근 근린상권들도 함께 활성화되고 있다. 시장 내 신축 건물을 조성해 주민·상인·청년들의 소통 공간, 창업 공간으로 활용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장기안심상가 모델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 중랑구 사가정시장 : 오랫동안 시설 현대화 사업에서 제외돼 중랑구 내에서 환경개선이 가장 열악한 시장이다. 또 인근에 대형마트 4개가 있어 시장의 기능이 분산돼 있었다. 시장브랜드 제작, 주민공동이용시설 건립, 사회적 경제 발굴, 청년상인 육성, 사가정역 젊음의 거리 조성, CPTED(범죄예방 환경설계) 사업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서울시는 이런 활동을 토대로 시범 사업지 2곳을 연말에 선정할 계획이다. 도시재생 코디네이터가 사업 기간 동안 모니터링한 결과와 사업이 종료 시 평가위원회의 종합 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선정된다. 주민의지·역량, 주민들이 발굴한 사업 내용, 지역 파급효과, 지역경제 기여도 등을 평가요소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 시는 희망지 사업규모와 지역별 특성을 감안해 지역당 최대 5천만 원의 사업비와 전문가(도시재생 코디네이터) 파견을 지원한다. 이후 시범 사업지로 선정되면 지역특성, 사업내용 등을 감안해 개소 당 100억 원 이내의 사업비가 지원할 예정이다.
□ 서울시는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을 통해 그동안 소상공인에 국한됐던 기존의 지원방식에서 벗어나 시장 본래의 마을 공동체마당(市場)으로써 기능을 회복하고 유통·인구구조 등의 변화와 임대료 상승 등의 문제를 마을 주민(소비자)들과 함께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신중진 평가위원장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평가위원으로 참여해 객관적으로 심사가 이뤄졌다”며, “희망지 사업을 통해 서울의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이 자리매김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도시의 어원에는 시장이 포함된다. 도시재생 자원 관점에서 시장의 가치는 중요한 요소다. 이번 6개소 희망지 사업을 통해 서울의 도시재생사업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며, 희망지 사업 단계부터 상인과 지역주민 간 공감대 형성을 최대한 이끌어 내기 위해 시, 자치구 등 유관 기관과의 협조체계를 유기적으로 유지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