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동네는 젊은 맞벌이 부부가 많이 사는 편인데 일하는 동안 아이들을 돌봐줄 곳이 부족해요." (맞벌이 엄마 30대 김모 씨)"우리 동네뒷산을 새로 들어온 건물이 다 가려버려서 안타까워요." (서울에서 50년째거주 중인 70대 박모 씨)
□ 서울시가 22개 자치구 83개 지역생활권(288개 동, 약 425㎢)각각이 가진 지역 현안을 그 지역에 사는 주민들과 함께 찾아내고 원인과 해결방안을 논의할 '생활권계획 참여단' 3,000명을 모집한다.
□ 이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수립 중인 '생활권계획' 진행 과정의 하나로, 이에 앞선 작년에는 22개 지역생활권(87개 동, 약 125㎡)에서 총 913명의 지역 주민 참여를 통해 지역의 강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발전방향을 모색한 바 있다.
○ '생활권계획'은 시가 지난 '14년 시민, 전문가와 함께 수립한 서울시법정 최상위 계획 「2030 서울플랜」의 후속계획으로, 「2030 서울플랜」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디테일한 도시기본계획을 4개 권역, 105개(1~5개 행정동 단위, 총 375개 동) 지역생활권별로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 기존의 도시계획이 공공과 전문가 위주로 이뤄지고 시민들은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하향식'이었다면, '생활권계획'은 수립과정에서 시민이 직접 참여해 함께 만드는 '상향식'으로 이뤄지는 것이 특징.
□ 생활권계획 참여 주민은 지역생활권별로 2회(총 140여 회) 워크숍을 갖고, 우리 동네 현안과 지역 특화 자원을 발굴하고 주민에게 필요한 생활 서비스 시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 생활 밀착형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된다.
□ 이렇게 도출된 결과물은 전문가 검토를 거쳐 생활권계획의 이슈별 계획 부문에 반영되며, 향후 법정계획화를 위한 법적 절차를 거치게 된다.
○ 또, 참여단의 모든 의견은 '참여단 리포트'로 발간해 지역 단위 정책수립에 활용될 예정이다.
□ 지역생활권별로 30~50명을 모집하며, 해당 행정 동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주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모집 인원은 동별로 10명 내외다.
○ 선발 인원 중 절반은 일반주민을 대상으로 공개 모집하고, 나머지는동별로 활동 중인 주민자치위원 중에서 자치구 추천으로 선정한다.
□ 신청은 각 자치구 담당자 이메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되며, 선정 결과는 개별적으로 통보한다.
○ 참여단 모집과 워크숍 일정 등 세부 정보는 자치구별로 조금씩 다른 만큼 생활권계획 홈페이지 (http://planning.seoul.go.kr)와 자치구 홈페이지 모집공고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
□ 시는 이와 같은 내용으로 올해 안으로 105개 지역생활권별 주민 의견 수렴을마무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생활권계획은 주민이 참여하는 생활밀착형 동네단위 도시계획으로, 주민이야말로 지역에 대해 제일 잘 아는 지역전문가"라며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생활권계획을 통해 지역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맞춤형 도시계획을 수립해나가겠다"고말했다.
1. 생활권계획 참여단 모집 포스터 1부.
붙임 2. 자치구 지역생활권 현황
권 역 |
자치구 |
지역생활권(행정동 개수) |
비 고 |
동북권 |
성동구 |
왕십리·행당(5), 마장·용답(3), 금호·옥수(4) |
|
광진구 |
건대입구(3), 구의(4), 자양(4) |
|
|
동대문구 |
청량리(3), 전농·답십리(4), 이문·휘경(5) |
|
|
중랑구 |
면목(7), 중화·묵동(6) |
|
|
성북구 |
길음(3), 종암·월곡(3), 장위·석관(4), 성북·동선(6) |
|
|
강북구 |
미아(3), 번동(3), 삼각산(3) |
|
|
도봉구 |
쌍문(3), 초안산(3), 도봉(2), 방학(3) |
|
|
노원구 |
월계(3), 공릉(2), 상계(2), 마들(3), 중계(3), 하계(3) |
|
|
서북권 |
은평구 |
연신내(4), 응암(4), 진관(1), 수색(4) |
|
서대문구 |
충정(3), 신촌(2), 가좌(4) |
|
|
마포구 |
성산(4), 아현(4), 용강(3), 상암(1) |
|
|
서남권 |
강서구 |
화곡1(4), 발산(3), 염창(4), 공항·방화(4), 마곡(2) |
|
양천구 |
신월1(3), 신월2(4), 신정(3), 목동2(5) |
|
|
구로구 |
구로·신도림(4), 고척·개봉(5), 구로디지털단지(3) |
|
|
금천구 |
시흥(5), 가산(1) |
|
|
영등포구 |
당산(2), 여의도(1), 신길(6), 대림(3) |
|
|
동작구 |
사당(5), 노량진(3), 신대방(2), 흑석(1) |
|
|
관악구 |
낙성대(5), 봉천(4), 신림(4), 대학(3) |
|
|
동남권 |
서초구 |
반포(6), 서초(4), 양재(3) |
|
강남구 |
압구정·청담(3), 삼성(2), 대치·도곡(5), 개포·일원(5), 수서·세곡(3) |
|
|
송파구 |
잠실1(4), 잠실2(4), 석촌(3), 송파(4), 문정(3), 거여·마천(4) |
|
|
강동구 |
암사(3), 길동·둔천(3), 고덕·명일(4), 강일·상일(2) |
|
붙임 3. 자치구 담당부서 연락처
권역 |
자치구 |
담당부서 |
이메일 |
연락처 |
동북권 |
성동구 |
도시계획과 |
hjjo@sd.go.kr |
2286-5553 |
광진구 |
도시디자인과 |
kylae81@gwangjin.go.kr |
450-7684 |
|
동대문구 |
도시계획과 |
choigs@ddm.go.kr |
2127-4582 |
|
중랑구 |
도시개발과 |
saintbig@jn.go.kr |
2094-2176 |
|
성북구 |
도시계획과 |
kkang6665@sb.go.kr |
2241-2775 |
|
강북구 |
도시계획과 |
mepi@gangbuk.go.kr |
901-6855 |
|
도봉구 |
도시계획과 |
bum68@dobong.go.kr |
2091-3556 |
|
노원구 |
도시관리과 |
jichang@nowon.go.kr |
2116-3864 |
|
서북권 |
은평구 |
도시계획과 |
ksh0102@ep.go.kr |
351-7403 |
서대문구 |
도시관리과 |
syoh@sdm.go.kr |
330-1588 |
|
마포구 |
도시계획과 |
limjaes@mapo.go.kr |
3153-9393 |
|
서남권 |
강서구 |
도시계획과 |
sjoonlee@gangseo.seoul.kr |
2600-6047 |
양천구 |
균형개발과 |
root69@yangcheon.go.kr |
2620-3519 |
|
구로구 |
도시계획과 |
dorias4884@guro.go.kr |
860-3327 |
|
금천구 |
도시계획과 |
maroo20@geumcheon.go.kr |
2627-1553 |
|
영등포구 |
도시계획과 |
ymint10@ydp.go.kr |
2670-3543 |
|
동작구 |
도시계획과 |
jsh4835@dongjak.go.kr |
820-9747 |
|
관악구 |
도시계획과 |
hdongsoo@ga.go.kr |
879-6355 |
|
동남권 |
서초구 |
도시계획과 |
kthkjb@seocho.go.kr |
2155-6787 |
강남구 |
도시계획과 |
jjyang@gangnam.go.kr |
3423-6006 |
|
송파구 |
도시계획과 |
jia0808@songpa.go.kr |
2147-3000 |
|
강동구 |
도시계획과 |
yuhki00@gangdong.go.kr |
3425-6025 |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