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분야 누리집 - 서울특별시





		
		

	 
	
	

마포 석유비축기지 '친환경 문화명소' 재탄생

담당부서
공공개발센터
문의
02-2133-8398
수정일
2014.01.10

 

13년간 방치됐던 마포구 석유비축기지가 ‘환경과 재생’을 주제로 한 친환경 복합문화공간, 서북권의 새로운 문화명소로 재탄생 되어 시민 품으로 돌아갑니다.

 

석유비축기지의 총 면적은 146,245㎡으로서 서울광장의 약 11배에 이르며, 이 일대가 쓰레기 산이었다는 장소적 특성을 반영해 녹색도시 서울을 상징하는 대표적 ‘환경재생거점’으로 재탄생시키고, 인근의 월드컵경기장의 공연·이벤트 기능과 DMC의 디지털미디어 기능을 융합해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1979년에 건립, 2000년에 용도폐기 된 석유비축기지는 매봉산 속에 5개의 석유탱크가 매설된 유례가 드문 산업유산으로서, 서울시는 이러한 장소적 가치와 석유탱크 내부의 독특한 공간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다는 부지 이용 원칙을 세웠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5개의 석유탱크(지름 15~38m, 높이 15m의 5층 건물 규모)와 옹벽은 재생적으로 활용하고, 자연지형은 최대한 훼손하지 않고 존중됩니다.

 

개발은 ①석유비축탱크 일대(부지면적 111,033㎡/서울광장의 8.4배)→ ②주차장 부지(부지면적 35,212㎡/서울광장의 2.7배) 일대 각각을 중심으로 2단계로 추진됩니다.

 

우선 1단계에서는 석유비축탱크 일대의 산업유산을 활용해 문화명소로 개발합니다.

 

석유비축탱크 부지에는 ▴전시체험공간 ▴정보교류공간 ▴공연강연공간의 기능이 도입되고, 이 때 탱크 내·외부공간을 통합해 각각은 독립된 개별시설이 아닌 하나의 공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입니다.

  • 전시체험공간 : 탱크의 내·외부 공간을 활용한 체험이 가능한 전시 공간으로 조성
  • 정보교류공간 : 소규모 강연과 세미나 및 시민을 위한 상설전시가 가능한 복합공간으로 조성.
  • 공연강연공간 : 음악, 연극, 강연 등 다양한 형태의 이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

 

2단계에선 기존 영상문화컴플렉스 계획이 있는 주차장 부지 일대를 1단계 개발 내용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 상암 DMC의 산업지원 기반으로 조성하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구체적인 탱크별 도입시설과 규모를 포함한 실제 설계는 전 세계 건축가, 조경가 등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현상설계’를 통해 추진할 예정이며, 철저한 사전준비를 거친 후 올해 4월 국제현상설계 공고를, 하반기엔 당선작 선정을 하고 2015년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실시하며, 2016년엔 착공할 계획입니다.

 

이번에 발표한 최소 설계기준을 마련함에 있어 서울시나 전문가가 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작년 5월~10월 6개월간 아이디어 공모를 실시했고 시민, 전 세계 학생, 전문가 등에게 의견을 묻는 등 여러 단계의 공감대 형성과정을 거쳤습니다.

시민 아이디어공모(5.14~7.1)에서 접수된 작품은 시민공개 및 투표를 통해 그 결과를 직접적으로 반영했으며, 뒤이어 열린 국제 학생·전문가 아이디어공모(5.27~8.23)를 통해 접수된 35개국 354개의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작품 내용도 청사진에 녹여냈습니다.

 

마포 석유비축기지 1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노을공원, 하늘공원, 월드컵경기장 등 주변의 친환경 문화자원과 함께 서북권의 환경생태 및 문화공간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 되며 해당지역이 시민의 소통공간이자 세계적인 명소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

 

첨부파일 :  대상지 현황(세부자료)

 

< 대상지 현황 전경 >

위치도 및 조감도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