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상습침수지역으로 꼽히는 신림동 일대에 30년 빈도의 강우시 도림천 홍수를 조절할 수 있는 6만5천톤 규모의 저류조가 확보됐다. 신림동은 지형상 관악산에서 발원하는 도림천 하류 저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비가 많이 내릴 경우 주민 불안이 있어왔다.
이에 시는 '11년 도림천 범람 이후 지난해부터 설치를 시작한 서울대 안 버들골(2만톤), 공대폭포(5천톤) 2곳의 영구 빗물저류조 공사를 6월 말 완료, 10일(목)부터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 시는 관악산 저류조 설치가 완공되기 전인 ‘12년과 ‘13년에는 임시 수방대책으로 강남순환 6-1공구 공사장을 활용한 임시저류조를 운영해 2년 동안 총 3회에 걸쳐 집중 호우에 대처했다.
서울대 정문 앞 광장에 설치된 4만톤 저류조는 '15년 완공될 예정으로, 올해는 임시 저류조로 활용된다.
특히 서울대 정문 앞 4만톤 저류조에는 서울에선 처음으로 대규모 병렬(자연유입조절)저류방식을 도입, 기존 직렬(On-line)방식보다 하천수위 조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침수예방효과를 높이게 됐다.
병렬 저류방식은 인근 하천수위를 실시간 계측해 수위가 높아질 경우 저류조에 하천수를 유입시켜 하천수위를 낮추는 방식이다. 사전에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이뤄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서울대 정문 앞 저류조의 경우, 도림천 동방1교∼신림3교 구간의 하천수위를 계측해 하천수위가 제방 여유고 0.5∼1.0m 사이에 오면 저류조에 도림천 하천수를 초당 18톤, 약 40분간 유입시켜 하천수위를 조절, 30년 빈도 도림천 홍수에 대비하도록 했다.
기존 방식인 직렬(On-line)방식은 폭우가 집중으로 쏟아질 때 빗물을 모아 서서히 흘려보내는 방식으로, 급작스럽게 불어나는 하천수를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 서울대 안 버들골, 공대폭포 저류조는 폭우가 집중으로 쏟아질 때 관악산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수를 순간적으로 모아 도림천의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외에도 서울시는 그동안 도림천의 정상적인 흐름을 막았던 신림3교를 지난해 철거하고 교각을 높이고 장애물을 없애는 등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재설치했으며, 올해 충무교를 철거완료하고 재설치를 추진 중이다.
천석현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도림천 상류에 6만5천톤의 영구 저류조가 확보돼 상습침수지역인 신림동 일대 홍수 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도림천 상류 저류조(6.5만톤) >
|
|
버들골, 2만톤 |
공대폭포, 5천톤 |
|
|
서울대 정문 앞, 4만톤 공사중(우기철 임시 활용) |
< 저류조 저류방식 >
구분 |
직렬(On-line) 저류방식 |
병렬(Off-line) 저류방식 |
모식도 |
|
|
설치위치 |
서울대 내(버들골, 공대폭포) ※ 버들골은 병렬 저류도 가능 |
서울대 정문 앞 |
< 위치도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