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분야 누리집 - 서울특별시





		
		

	 
	
	
	
	

산사태 위험정보 활용

산사태 위험정보 활용

01다양한 산사태 정보를 활용하자
산사태정보시스템(http://sansatai.forest.go.kr)

산림청에서는 각종 산사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고 있으며,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풍, 집중호우, 장마 등으로 많은 비가 오거나 예상되면 해당 구청(산사태 관련부서)을 통해 그 지역의 자세한 산사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각종 재난정보사이트를 통해 재난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주소
좀더 알아봐요
  • 산사태위험지도는 다양한 산사태 발생인자 중 영향이 큰 9개 주요 인자를 선정하여 제작하였으나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매우 다양하여 이용상 한계가 있습니다.
    • 9개 주요 인자 : 임상(숲모습), 경급(나무지름크기), 사면경사, 사면방위, 사면길이, 사면곡률, 모암, 오심, 지형습윤지도(TWI)
  • 산사태 등 재난위험지역은 산림보호법,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등 각종 법률에 근거하여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02 단계별 재난 위기 정보와 의미를 알자
01관심
  • 산사태 빈발 시기(여름철 산림재해 대책기간 5.15~10.15)등 산사태에 관한 관심이 필요한 경우
  • 지진 규모 4.0~4.4의 지진 발생 시
위험징후를 확인합니다.
02 주의
  •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아져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나타날 때
  • 산사태주의보의 예측정보가 시군구의 30% 이상에서 발생 시
  • 지진 규모 4.5~4.9의 지진 발생 시
기상정보에 주의하고 대피소나 비상용품을 확인합니다.
03 경계
  • 중소규모 산사태가 발생하거나 또는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할 때
  • 산사태주의보의 예측정보가 시군구의 50% 이상에서 발생 또는 산사태경보의 예측정보가 시군구의 30% 이상에서 발생 시
  • 지진 규모 5.0~5.9의 지진 발생 시
위험한 장소에서 대피하고 그 외 장소에서도 대피를 준비합니다.
04 심각
  •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확실한 때 또는 산사태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 산사태경보의 예측정보가 시군구의 50% 이상에서 발생 시
  • 지진 규모 6.0 이상의 지진 발생 시
즉시 대피 등 행동을 취합니다.

※ 호우, 강도에 따라 산사태 예측경보 등급은 상향됩니다.

산사태 발생 우려가 높은 지역은?

산사태취약지역*으로 지정·관리하여 사방댐 등 사방사업, 산사태현장예방단 운영, 시민안전교육 등 매년 각종 산사태 피해 예방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산사태취약지역이란?

산사태로 인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되는 곳으로 산 가까이 있는 주거지역 등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정·고시한 주민 생활권 지역을 말합니다.

시민교육
대피훈련
산사태 현장예방단 운영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 담당부서 푸른도시국 - 산지방재과
  • 문의 02-2133-2182
  • 수정일 2020-06-18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