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디어를 가진 자가 미래를 지배하는 세상이 된다.” 2001년 자신의 저서<존 호킨스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를 통해 ‘창조경제’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존 호킨스(John Howkins)’의 말입니다. 이 책에서 존 호킨스는 ‘창조경제란 새로운 아이디어, 즉 창의력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유통업, 엔터테인먼트산업 등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 창조경제의 창시자이자 글로벌리더인 ‘존 호킨스’가 서울에 옵니다. 서울시는 7월 16일(목) 오전 9시 30분부터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지속가능한 혁신(Sustainable Innovation) : 가치의 재창조’를 주제로「서울 창조경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 컨퍼런스는 존 호킨스의 기조연설로 시작합니다. 존 호킨스는 ‘창조경제 : 서울의 도전(The Creative Economy : The Challenge for Seoul)’을 주제로 전 세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창조성과 혁신트렌드가 인재·사업모델은 물론 도시와 국가간 경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관리방안도 밝힙니다.
□ <세션 1>에서는 ‘선진국가와 글로벌기업의 창조경제 추진사례’를주제로 ▴리 레핑웰(Lee Leffingwell)前 텍사스 오스틴시장 ▴임경묵 CJ창조경제추진단 부단장 ▴권터 클롭쉬(Gunther Klopsch)한국지멘스 디지털 팩토리 사업본부, 공정산업&드라이브 사업본부 총괄대표가 차례로 각 도시와 기업의 성공 사례를 발표합니다.
□ <세션 2>에서는 ‘글로벌 스타트업 양성을 통한 창조경제구현’을 주제로 미국과 한국의 대표적인 창조경제기업 운영방안 및 발전 노하우를 공유, 서울시의 활용방안을 찾습니다.
□ 마지막 <세션 3>에서는 ‘서울형 창조경제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고경모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기획국장과 서동록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이 창조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서울 창조경제 국제 컨퍼런스」 개최계획
1. 서울창조경제 국제 컨퍼런스
□ 일 시 : 2015.7.16.(목)
□ 장 소 : 서울시청 신청사 8층 다목적홀
□ 참석규모 : 해외도시 대표, 국내외 전문가 등 약 400명
기조연설자 : 존 호킨스(영국) <해외연설자> - 리 러핑웰(미국, 前오스틴시 시장 ’12년~’15년) - 매슈 삼파인(미국, WeWork 공동창업자 겸 부사장) ※ 벤자민 시트(싱가포르, 바이오메디컬연구원장) 메르스로 인해 참석 불가 통보,대체연사 섭외중 <국내전문가> - 임정민(구글캠퍼스 서울총괄), 고경모(미래부 창조경제기획국장), 고준흠(바클레이즈 한국대표), 고영하(엔젤투자협회장)등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장, 창조경제관련 기관장, 기업 등 |
2. 세션 주제 및 연사 프로필
○ 기조연설자
연사 이름 |
국적 |
프로필
|
|
존 호킨스 |
영국 |
존호킨스창조경제연구센터장, 창조경제 창시자 중국 상해희극학원·영국 링컨대학교 방문교수 저서> 존 호킨스 창조경제 ※ 2013. 5.KISTEP 창조경제포럼 참석 |
○ 세션 1 : 창조경제 구현방안 사례
구분 |
연사 이름 |
국적 |
프로필
|
|
모더 레이터 |
조 병 완 |
한국 |
2012 서울크리에이티브랩 연구소 소장 혁신창조경제포럼의장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2006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유비쿼터스 최고위과정 |
|
하이테크 (IT) |
리 러핑웰 |
미국 |
前 텍사스 오스틴 시 시장 2012~2015 *오스틴(Austin) : 20여 년간 미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하이테크 산업 발전 사례로 언급되는 도시로 가장 뛰어난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개발 거점 |
|
문화 |
임경묵 |
한국 |
CJ창조경제추진단 부단장 |
|
제조업 |
귄터 클롭쉬 |
독일 |
한국지멘스 인더스트리 부문 대표 |
○ 세션 2 :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육성 사례
구분 |
연사 이름 |
국적 |
프로필
|
|
모더 레이터 |
고 영 하 |
한국 |
한국엔젤투자협회장, 고벤처 엔젤클럽 회장 고벤처 파트너스 대표 고벤처포럼 회장 |
|
창 업 |
매 슈 샴파인 (차민근) |
미국 |
위워크(Wework) 공동 창업자 겸 사업개발 부사장 * 위워크: 빈 사무실을 임대해주는 사업으로 건물을 임대해 이처럼 창업을 꿈꾸는 예비기업가들과 스타트업 (신생 벤처기업)에게 사무실로 재대여 |
|
창 업 |
임 정 민 |
한국 (미국) |
구글 캠퍼스 서울 총괄 2010년 소셜게임회사인 로켓오즈(RocketOz)창업,2014년 한국의 1위 모바일 게임 개발업체인 선데이토즈에 인수 소프트뱅크 벤처스 코리아 사모펀드 및 벤처 투자 부문 담당 |
|
창 업 |
권 혁 태 |
한국 |
스타트업 전문 벤처캐피탈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인수합병(M&A) 전문가 쿨리지코너인베스먼트: 중소기업 창업 투자 업체, 벤처캐피탈, 사업, 재무 분석 및 컨설팅, M&A 자문 ) |
○ 세션 3 : 서울의 창조경제 정책 방향
구분 |
연사 이름 |
국적 |
프로필
|
|
모더 레이터 |
김수현 |
한국 |
2014년 ~ 현재 서울연구원 원장 2008년 ~ 현재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2007 ~ 2008년 환경부 차관 2003 ~ 2007년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
|
서울시 정 책 |
서동록 |
한국 |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 |
|
정 부 정 책 |
고경모 |
한국 |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기획국장 |
|
기 조 연 사 |
존 호킨스 |
영국 |
존호킨스창조경제연구센터장, 창조경제 창시자 중국 상해희극학원·영국 링컨대학교 방문교수 저서> 존 호킨스 창조경제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