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제4회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참가기업 모집
서울산업진흥원(SBA)에서는 개발중인 게임콘텐츠의 각 분야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게임성이 우수한 인디게임 콘텐츠를 발굴하고 개발 및 마케팅 지원 등 타 지원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2020 제4회 인디게임 패스트트랙’을 운영하오니 게임 스타트업 및 개발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 2020 제4회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ㅇ 사업목적 : 인디게임의 개발부터 마케팅까지 빠르게 지원하여 우수게임 성공사례 창출
ㅇ 지원대상 : 서울 소재 게임 스타트업 및 개발자(팀)
·사업자등록증 기준 설립일 만 7년 이내의 게임 스타트업 및 개발자(팀) ·테스트 및 진단 가능한 최소한의 조건을 갖춘 제작중인 게임콘텐츠 (2021년 5월 中 완성평가 예정) ·게임 개발과 유통을 함께하는 업체는 지원대상에 포함, 단순 유통사는 제외 ·타 기관 제작지원을 받지 않은 기획물 |
ㅇ 제외대상
·기업 소재지가 서울이 아닌 기업 ·기획단계로 게임콘텐츠의 진단 및 심사가 불가한 콘텐츠 ·개발 완성 후 정식출시되었거나 퍼블리셔와 계약을 맺은 게임콘텐츠 |
ㅇ 지원 프로세스
서류 접수 (~ 11/24) |
▶ |
서면진단 및 심사 (11월 4주 中 ) |
▶ |
투자 패스트트랙 (11월 5주) |
▶ |
발표(PT) 심사 (12월 2주 中) |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신청서 접수 |
제출 서류 기반 서면진단 및 심사(비대면) |
투자 관련 교육 VC들의 피칭 멘토링 |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제작지원작 및 우수작 선정 |
- (서류 접수)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신청서 및 콘텐츠 개요 등 온라인 SBA 홈페이지에서 접수
- (서면 진단·심사(비대면)) 콘텐츠 진단 및 서면심사를 통한 평가 피드백 결과지 제공
- (투자 패스트트랙) 투자 관련 집체 교육 및 VC들의 피칭 그룹 멘토링
- (발표 심사) 콘텐츠 진단을 통해 선별된 우수 콘텐츠 대상 질의응답 방식의 발표(PT) 심사
- (지원작 선정)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제작지원작 6개를 비롯한 우수 개발사(팀) 20여개사 선정에 따른 지원
※ 모든 프로세스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비대면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신청 및 접수방법
ㅇ 접수기간 : ~ 2020. 11. 24(화) 17:00
ㅇ 접수방법 : 온라인 신청 (접수기간 중 신청 페이지 활성화)
※ 서울산업진흥원 홈페이지(http://www.sba.kr) 내 알림소식 → 공지사항 → 사업신청 (회원가입 필수)
- 별첨자료 : 이메일 접수 (gamecenter@sba.seoul.kr, 마감시간 전 도착분에 한함)
ㅇ 제출물 내역
구 분 |
제출대상 |
제출물 내역 |
작성방법 |
①사업신청서 소정양식 (용량제한:10메가) |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신청기업 |
· 사업신청서 · 작품 및 개발사 개요 - 게임 기획서 및 프로젝트 콘셉트 - 게임 개발 추진방법 및 추진일정 - 개발사 개요(개발현황, 주요 게임개발 실적 등) - 참여인력 현황 및 경력사항 ※ 첨부된 신청서 작성 및 접수안내 참조 |
첨부양식 작성 (한글 hwp) |
·사업신청 기본사항 |
첨부양식 작성 (Excel) |
||
②별첨자료 |
·국세·지방세 납입증명서(신청일 기준)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법인사업자) ·개발사의 이전 작품 (포트폴리오) ·테스트 빌드 혹은 플레이영상 (게임콘텐츠 관련 영상, 테스트할 수 있는 데모버전 등) |
스캔 후 PDF 파일로 제출 ※ 테스트 빌드 및 플레이영상은 별도 제출 |
|
【분량 및 제출 요령】 ① : 소정양식을 이용하여 작성 후 PDF 파일로 제출 ② : PDF파일을 이메일(gamecenter@sba.seoul.kr)로 제출 ※ 증빙자료는 신청접수 시에는 사본으로 제출 가능하나, 본선 심사 시에는 원본 제출 필수) |
□ 세부 지원내용
<최종 선정 최우수 개발사(팀) TOP 6>
ㅇ 편당 개발지원금 3,000만원 지원
개발지원금 지원조건 |
· 지원금 지급방법 : 게임 개발자 및 스타트업의 이행보증보험 증권 접수 후 지급 · 개발 완료 기한(2021년 4월 말)까지 완성빌드 제출 · 협약 종료 후 1년 이내 게임 출시 후 실적자료 제출 필수 · 크레딧 표기 : 작품의 인트로에‘서울시·서울산업진흥원(SBA)’제작지원 사실 표기 |
ㅇ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SET(개발 지원) 연계 지원
SET 개발지원 |
FGT(Focus Group Test) |
게임 타겟유저를 고려한 Focus Group Test 지원 |
네트워킹/비즈매칭 |
게임업계 핵심 파트너사 연계 네트워킹 및 비즈매칭 |
|
S/W 지원 |
Adobe 포토샵, 크리에이티브 등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지원 |
ㅇ SBA 서울게임콘텐츠센터 임대공간 입주기회 제공 (고득점 순으로 우선 선택권 부여)
<서울게임콘텐츠센터 임대공간 개요> · 위 치 : 에스플렉스센터 시너지움 9~10층 (마포구 매봉산로 31) · 지원규모 : 5개실 - 901호(임대면적 102.95㎡) / 907호(124.29㎡) 1011호(108.47㎡) / 1012호(115.52㎡) / 1013호(48.47㎡) ※ ㎡당 고정관리비 : 6,180원 (변동관리비 별도, 임대료는 면제) · 입주기간 : 기본 2년 (추가 1년 희망시 연장평가를 통해 결정) |
ㅇ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GO(마케팅 지원) 연계 지원
GO 마케팅 지원 |
1인미디어 영상 제작 |
MCN 및 게임 전문 크리에이터 연계 게임 홍보영상 제작지원 |
글로벌 퍼블리싱 |
중동·유럽·북미 등 글로벌 퍼블리셔 우선 매칭 기회 제공 |
|
우수게임 추천 및 시상 |
유저반응이 좋은 완성콘텐츠 시상후보 추천, 선정시 상금 및 마케팅 지원 |
|
페이스북 마케팅 지원 |
UA 마케팅 기본교육 및 런칭 전 마케팅 플랜 컨설팅 지원 |
|
소프트런칭 지원 |
완성된 제작지원작의 사전예약시스템 운영 등 소프트런칭 지원 |
|
보도자료 배포 및 인터뷰 |
유관협회 연계 온·오프라인 홍보채널 활용 홍보지원 |
ㅇ SBA 투자 패스트트랙 (투자 관련 교육 및 VC 1:1 멘토링) 참가자격 부여
<우수 개발사(팀) – 진단 통과기업>
ㅇ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SET(개발 지원) 연계 지원 (비즈매칭, 네트워킹 세미나 등)
ㅇ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GO(마케팅 지원) 연계 지원 (영상제작을 제외한 일부 홍보지원)
ㅇ SBA 투자 패스트트랙 (투자 관련 교육 및 VC 1:1 멘토링) 참가 신청자격 부여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신청기업 전체>
ㅇ 인디게임 패스트트랙 READY(콘텐츠 진단) 지원
- 개발, 퍼블리셔, 미디어 등 넓은 스펙트럼의 전문가 구성을 통해 전범위적인 피드백 제공
- 운영 프로세스
진단위원회 구성 |
▶ |
콘텐츠 개요 사전 검토 |
▶ |
진단기업 대상 일정 공지 |
▶ |
서면 콘텐츠 진단 |
▶ |
기업별 진단결과 안내 |
- (위원회 구성) 신청기업 추첨 다빈도 순으로 진단위원회 전문가 7명 섭외
- (신청내용 공유) 신청서 및 게임콘텐츠 테스트 빌드 진단위원회에 사전 공유 및 검토
- (일정 공지) 프로그램 참여기업 대상 일정 및 안내사항 공지
- (서면 콘텐츠 진단) 제출 신청서(콘텐츠 자료) 기반 게임콘텐츠 세부 진단 및 피드백
- (진단결과 공지) 진단 피드백 기록 내용 공유 (※ 희망기업에 한함)
□ 유의사항
ㅇ 마감시간을 엄수하여 주시고 마감시한까지 사업신청서가 업로드 완료되지 않을 경우
접수 처리되지 않으며, 마감당일은 접속 폭주가 예상되오니 사전에 신청 바랍니다.
ㅇ 제출된 신청서는 접수 후 신청자 요청에 의해 임의로 추가 또는 보완될 수 없으며,
일체의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니 양해 바랍니다.
ㅇ 신청 프로젝트 수는 개인과 기업을 통칭하여 1개를 원칙으로 함
ㅇ 제작지원 선정작은 선정작품에 서울산업진흥원 지원 사실을 반드시 표기하여야함
ㅇ 중복지원은 불가하며, 동일한 게임으로 타기관으로부터 지원 (상금, 개발지원금 등 현금성 지원을 받은 경우)을 받은 사실이 확인 될 경우 지원사항 결정된 이 후에라도 관련
사항 취소, 지원금 회수 및 참여제한 등의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음
ㅇ 선정된 제작사가 제작지원금을 당초의 목적대로 집행하지 않거나 임의로 제작을 중
단할 경우, 제작지원금 환수와 필요한 제재조치 등을 취할 수 있습니다.
ㅇ 상기 공고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끝.
□ 문의처
ㅇ SBA 게임산업팀 홍동균 책임 (02)2124-2903, dg8802@sba.seoul.kr)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