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이란?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 토양 등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U238)이 핵붕괴 후 생성하는 무색, 무미, 무취의 방사능을 띤 비활성 기체로, 우라늄광 및 천연가스 등 자연자원의 탐사에 활용되어 인간생활을 유익하게 하는 반면, 흡연 다음으로 높은 폐암 유발물질입니다.
토양으로부터의 라돈 방출량은 우라늄의 양 및 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동일한 공간에서도 온도, 습도 등 기상인자와 환기량에 의해 라돈농도의 변화가 매우 큽니다.
실내공간에 분포하는 라돈의 주 발생원은 토양이지만 암석을 재질로 만든 건축자재, 지하수 그리고 취사용 천연가스 등을 통해서도 실내로 유입됩니다. 따라서 환기가 불량한 주택 및 건물의 실내에서는 높은 농도의 라돈이 검출될수 있습니다.
주택의 실내 라돈농도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은,
- 건물과 토양사이에 환기공을 설치하여 라돈가스를 배출합니다.
- 건물의 균열 등 틈새를 밀봉하여 토양으로부터의 라돈 유입을 방지합니다.
- 밀폐된 실내공간의 환기량을 증대시킵니다.
라돈과 건강
폐암 발병에 의한 사망률(미국 환경보호청, 2005)
라돈으로 인한 연간 폐암사망자 수는 21,000명
폐암 발병에 의한 사망률(미국 환경보호청, 2005)
라돈농도(pCi/L) |
비흡연자 |
흡연자 |
20.0 |
36/1,000 |
260/1,000 |
10.0 |
18/1,000 |
150/1,000 |
8.0 |
15/1,000 |
120/1,000 |
4.0 |
7/1,000 |
62/1,000 |
2.0 |
3.7/1,000 |
32/1,000 |
1.25 |
2.3/1,000 |
20/1,000 |
0.4 |
0.73/1,000 |
6.4/1,000 |
4 pCi/L에 평생 노출시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9배정도 높은 사망률
생활환경과 라돈분포
실내공간과 실외의 라돈농도 분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2006. 4.5 ~ 7.6 / 2007.3.16 ~ 9.14 )
생활환경 | 평균 라돈농도(pCi/L) |
---|---|
아파트 | 0.79 ~ 1.55 |
오피스텔(신축) | 3.04 |
단독주택 | 1.72 ~ 2.03 |
학교(강의실) | 1.59 |
사무실 | 1.01 |
외기 | 0.13 ~ 0.67 |
일반 생활환경의 라돈농도는 그 지역의 지질학적 지반조건보다 건축구조,자재 및 환기량에 따른 영향이 크다
라돈노출예방
라돈저감방안(환기율에 따른 지하역사 라돈농도의 일변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2006. 5.2 ~ 5.22)
지하철역의 라돈농도를 환기량에 의해 2 pCi/L까지 저감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