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서비스는 일자리 지원입니다. 일하기를 희망하는 어르신들에게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맞춤형 공공일자리를 제공하여 일을 통한 적극적 사회참여, 소득보장 및 건강증진을 도와드리고 시니어클럽, 고령자취업알선센터 등에서 민간 일자리도 연계해 드립니다.
■ 어르신 공공일자리를 대폭 늘려 가겠습니다
올해부터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기간을 7개월에서 9개월로 늘리고, 12개월 연중 시행하는 사업도 시범적으로 시행하는 등 공공일자리를 확대하여 어르신의 소득보장과 사회참여를 지원합니다. 2013년에는 688억 원의 예산을 책정해 4만 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매년 일자리를 1만 개씩 늘려 2018년까지 일자리 10만 개를 제공하겠습니다.
- 사업참여대상
시장형·인력파견형 : 만 65세 이상의 신체노동이 가능한 어르신(만 60세, 만64세 예외적 참여 허용)
공익형·교육형·복지형 : 만 65세 이상 신체노동이 가능한 기초노령연금 수급권자
* 어르신 일자리 사례 : 어린이 하교길 안전지킴이, 숲생태해설사, 건광관리상담사, 시험감독관, 예절지킴이, 학교보안관, 경로당코디네이터 등
■ 시니어클럽을 지원해 일자리를 늘립니다
지역사회에서 어르신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개발하고 관리해 어르신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을 돕는 시니어클럽을 1자치구 1클럽으로 확대합니다. 어르신의 경험을 사회적 자산으로 만들고 어르신의 삶의 질도 향상해 나갑니다.
- 운영실적(2012) 7개소 70개 사업단 1,715명
구분 | 종사자 | 운영법인 | 주요사업단 |
---|---|---|---|
종로 | 5 | 대한상공회 유지재단 | [12개] 지하철택배, 숲생태안내, 문화유산해설사업 등 |
관악 | 5 | 사회복지법인 자선단 | [13개] 택배사업, 도시락사업, 쌀과자.참기름 사업 등 |
강남 | 5 | 사회복지법인 자광재단 | [14개] 통번역, 지하철 택배, 주례파견, 시험감독관 등 |
도봉 | 5 |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 | [10개] 세탁장, 인력파견, 지하철택배, 은빛작업장 등 |
은평 | 5 | 사회복지법인 행복창조 | [6개] 카폐, 인력파견, 웰빙쌀과자, 공동 작업장 등 |
마포 | 5 | 사회복지법인 기아대책 | [11개] 왕만두, 쿠키, 봉제, 실버도슨트, 카폐 등 |
송파 | 5 | 사회복지법인 신애복지재단 | [4개] 송파농장, 공예방, 지하철택배, 핸디맨 등 |
제작 및 편집 : 서울시 어르신복지과 ( 02-2133-7403)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