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씨앗통장」이 아동의 희망과 꿈을 실현하는 디딤이 되는 종자돈(Seed Money)을 의미하듯이 아동의 자립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며, 디딤씨앗통장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2014 디딤씨앗통장 사진 · 그림 / 이야기 공모전』을 개최하오니 관심 있는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공모 대상
디딤씨앗통장 저축아동, 디딤씨앗통장 후원자 및 사업 관계자, 디딤씨앗지원사업에 관심 있는 모든 국민
2. 공모 주제
○ 디딤씨앗통장과 관련하여 긍정적 효과를 부각함과 동시에 동 사업이 미치는 영향 등 꿈과 희망을 전달할 수 있는 진솔한 내용
○ 후원자와 후원아동이 멘토-멘티가 되어 긍정적인 관계로 발전되어가는 이야기
○ 디딤씨앗통장을 통해 자립을 준비하고 있는 아동에게 보내는 격려와 응원 메시지
3. 공모대상
○ 디딤씨앗통장 저축아동, 디딤씨앗통장 후원자 및 사업 관계자, 디딤씨앗지원사업에 관심 있는 모든 국민
4. 공모분야
○ 사진·그림 부문
- 봉사활동 사진, 학업이나 훈련 등 미래를 준비하는 모습
- 후원자와 후원아동이 함께 하는 활동사진 등
○ 이야기 부문
- 디딤씨앗통장을 만들어 저축해 나감으로써 꿈을 이루어 가는 내용
- 디딤씨앗통장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었던 경험담
- 디딤씨앗통장을 통해 자립을 준비하고 있는 아동에게 보내는 격려와 응원 메시지
5. 공모 기간
○ 접수기간 : 2014. 9. 1 ~ 9. 30(1개월)
○ 발표(예정)일 : 2013. 10. 21(월)
- 디딤씨앗통장 홈페이지(www.adongcda.or.kr) 공지사항 게시
※ 위 일정은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6. 응모 형식
○ 사진·그림 부문
- 그림 : 스케치북 크기 1장(8절지)
- 사진 : 흑백·컬러 모두 가능 : 11×14(inch) 이상의 jpg 파일
※ 작품설명 기술(A4 1장 내외)
○ 이야기 부문
- A4 2∼3장 분량 내외(글자 크기 12point)
- 여백 : 상하좌우 20mm
- 줄간격 : 160%
7. 선정 방법
□ 심사기준
○ 이야기가 있는 사진/그림
평가요소 |
평 가 내 용 |
평가요소 |
평 가 내 용 |
주제 적합성 (50점) |
- 참신한 내용 |
활용성 (50점) |
- 후원자 전달 적합성 |
- 긍정적인 효과 부각성 |
|||
- 후원 참여유도 가능성 |
|||
- 감사/격려/희망적인 내용의 메시지 전달 |
○ 디딤씨앗통장 이야기
평가요소 |
평 가 내 용 |
평가요소 |
평 가 내 용 |
주제 적합성 (40점) |
- 진실하고 참신한 내용 |
글의 구성 (30점) |
- 형식의 적합성 |
- 문장력 |
|||
- 긍정적인 효과 부각성 |
|||
- 내용 전달력 |
|||
- 감사/격려/희망적인 내용의 메시지 전달 |
활용성 (30점) |
- 후원자 전달 적합성 |
|
- 후원 참여유도 가능성 |
□ 시상내역
내 용 |
사진/그림 부문 |
이야기 부문 |
||
인원 |
상금 |
인원 |
상금 |
|
보건복지부장관상 |
4 명 |
30만원 |
4 명 |
30만원 |
한국사회복지협의회장상 |
4 명 |
30만원 |
4 명 |
30만원 |
※ 입상자는 추후 공지 및 개별연락, 시상 및 상금 지급은 ‘디딤씨앗통장 후원의 날’에 시행 예정
8. 접수 방법
○ 방문 및 우편접수(※ 우편접수 당일 소인까지 유효)
- 우편접수 시 겉봉투에 공모전 참가 명시
○ E-mail 접수
○ 공모전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작품과 함께 동봉 제출
9. 기타 유의사항
○ 접수된 작품은 반환하지 않으며, 저작권은 보건복지부에 귀속됨
○ 제출된 원작을 책자, 각종 보고서 등 홍보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음.
○ 입상작품 중 시상 전·후 표절작으로 판명될 경우 시상 대상에서 제외, 시상취소 및 상금 전액을 환수함.
○ 심사 기준에 부합하는 응모작이 없는 경우 시상내역이 변경될 수 있음.
○ 출품작 중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음란·폭력물, 불법정보유포 등의 소지가 있는 경우 심사대상에서 제외되며, 저작권관련 민·형사상의 문제발생 시 모든 책임은 응모자 본인에게 있음.
10. 문의처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디딤씨앗지원사업단 (☎ 02-790-0786~7)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www.adongcda.or.kr) 참고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