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요성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된 도시지역인 서울은 녹지면적 감소, 불투수면적 증가, 친수공간 감소 등의 급격한 환경적 변화를 발생시켜 하천유량 감소, 친수공간 감소, 홍수피해의 증가, 수자원 확보 및 하천수질 관리의 어려움, 열환경의 심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습니다. 이러한 도시화로 악화된 물환경을 회복하는 방법은 저영향 개발 및 빗물관리를 통한 도시 물순환 회복입니다.
- 추진방향
- 분산식 빗물관리시설 확충, 지역단위 빗물관리 추진
- 기존에 설치된 빗물관리시설의 효과검증
- 지하수 안전관리 강화 및 유출수 재이용 확대
- 추진계획
- 민간 개발계획과 연계한 물순환시설 확대 : 저영향개발 사전협의 확대시행 및 빗물관리시설확충,
소형빗물이용시설 지원
- 주민이 직접 설계에 참여하는 빗물마을 조성사업 확대
- 도시계획 연계 저영향개발 계획수립(효자배수분구 빗물관리 지구단위계획)
- 지하수 안전관리 및 활용다각화 : 지하안전평가 의무화 관련 조례 제정 및 수위관측지점 보완
지하철 역사 비상급수 시설로 사용하는 유출지하수 활용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