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요성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된 도시지역인 서울은 녹지면적 감소, 불투수면적 증가, 친수공간 감소 등의 급격한 환경적 변화를 발생시켜 하천유량 감소, 친수공간 감소, 홍수피해의 증가, 수자원 확보 및 하천수질 관리의 어려움, 열환경의 심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습니다. 이러한 도시화로 악화된 물환경을 회복하는 방법은 저영향 개발 및 빗물관리를 통한 도시 물순환 회복입니다.
- 추진방향
- 분산식 빗물관리시설 확충, 지역단위 빗물관리 추진
- 기존에 설치된 빗물관리시설의 효과검증
- 지하수 안전관리 강화 및 유출수 재이용 확대
- 추진계획
- 민간 개발계획과 연계한 물순환시설 확대 : 저영향개발 사전협의 확대시행 및 빗물관리시설확충,
소형빗물이용시설 지원
- 주민이 직접 설계에 참여하는 빗물마을 조성사업 확대
- 도시계획 연계 저영향개발 계획수립(효자배수분구 빗물관리 지구단위계획)
- 지하수 안전관리 및 활용다각화 : 지하안전평가 의무화 관련 조례 제정 및 수위관측지점 보완
지하철 역사 비상급수 시설로 사용하는 유출지하수 활용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