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물관리의 필요성
- 서울지역의 물환경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문제점은 불투수면의 증가, 하천유량의 감소, 친수공간의 소멸, 홍수피해의 증가, 수자원확보의 어려움, 생태계의 변화 등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천연 자원인 빗물 활용입니다.
빗물관리시설의 종류
- 빗물침투시설
- 강우시 인위적으로 빗물을 지표면 아래로 침투시키는 시설로 침투통, 침투 트렌치, 침투측구, 투수성 포장, 투수성 보도블럭 등의 시설
- 빗물저류시설
- 저지대의 배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빗물을 저류하거나 방류하는 시설로서 쇄석공저류, 운동장저류, 공원저류, 주차장저류, 단지내저류, 건축물저류, 공사장 임시저류, 유지·습지저류, 계곡저류 등의 시설
- 빗물이용시설
- 침투·저류 및 저장된 빗물을 조경용수·청소용수 등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공업용수 및 기타용수 등에 이용하기 위한 시설
빗물침투통 및 트렌치
개인주택 빗물이용시설
- 침투·저류 및 저장된 빗물을 조경용수·청소용수 등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공업용수 및 기타용수 등에 이용하기 위한 시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