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모기 예보제
by. 영상크리에이터 김예진
#모기활동지수 #모기발생단계 #행동규칙 #모기방제 #모기_싫어 #news.seoul.go.kr/health/mosquito
모기 예방법
<야외활동 시>
1. 느슨하고 긴 상의와 긴 바지, 양말을 신고 활동하기 |
- 야외 활동을 해야 할 경우 긴팔 상의와 긴바지를 입고 양말을 신습니다.
|
2. 체온이 너무 높아지지 않게 하기 |
- 모기는 열에 이끌려 흡혈 활동을 하므로, 체온을 낮게 하여 물림을 방지합니다.
- 밝은 색의 옷을 선택하여 태양열 흡수를 줄입니다.
- 과도한 운동을 삼갑니다.
- 체온이 높은 아이와 함께 활동을 할 경우, 유모차나 모기장을 이용합니다.
|
3. 방충제/모기기피제 분사하기 |
- 화학 방충제의 잠재적 위험성이 우려된다면,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 등 친환경 성분을 포함하는 제품을 사용합니다.
- 아이에게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기 전, 주의사항을 확인합니다.
- 어린이의 경우 손과 눈, 코, 입, 상처에 모기 기피제 사용을 자제합니다.
|
4. 모기 많은 지역 피하기 |
- 숲 또는 물이 고인 곳, 습한 환경을 피합니다.
- 생활 반경 근처의 고인물을 제거합니다.
- 방충망을 설치합니다.
- 모기장을 사용합니다.
|
<모기에 물렸을 때, 가려움증 완화 방법(가정에서 활용법)>
1. 모기 물린 부위를 차가운 물로 씻어냅니다. |
- 차가운 물은 혈관을 수축시켜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여 가려움을 완화합니다.
|
2. 얼음팩으로 찜질하여 물린 부분을 무감각하게 합니다. |
- 붓기나 가려움증이 계속될 때 얼음찜질을 하면 붓기를 감소시키고, 신경을 마비시켜 가려움을 완화해 줍니다.
- 물파스에 들어있는 항히스타민과 멘톨이 간지러움 완화에 좋기 때문에 물파스를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얼음팩 사용 시 직접 피부에 닿지 않게 수건 등 겉면을 감싸 사용해야 합니다.
|
3. 물린 부분이 심하게 부을 경우, 환부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합니다. |
- 물린 부분을 심장보다 위에 30분 정도 유지하면 붓기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
<모기에 물렸을 때, 의사와 상담해야 하는 경우>
1. 모기에 물린 후 가려움증 이외의 아픈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 일부 모기는 흡혈 활동을 통해 신체에 바이러스 또는 기생충을 옮기게 됩니다.
- 발열, 두통, 현기증, 관절 및 근육통, 구토 발생 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2. 여행 기간 동안 모기에 물린 적이 있는 경우 |
- 1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 진료 시 의사에게 여행 장소, 여행 기간, 모기 물림 유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3. 통증이 있는 붓기 부위 살펴보기 |
- 일부 사람들은 모기 타액에 있는 단백질에 대해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킵니다.
- 일반적인 간지러움과 붓기 이상의 고통스러운 붉어짐과 부어오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4. 전신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경우, 즉시 의사 호출하기 |
- 모기에 물린 후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처치 받아야 합니다.
- 호흡 곤란 또는 섭취 곤란/ 현기증/ 구토/ 심박수 증가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상황환경별 행동수칙 및 방제법
모기 기피제 사용 방법 |
- 모기 기피제를 몸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때, 임산부나 모유 양육하는 산모에게는
설명서에 있는 내용을 숙지하여야 한다.
- 썬크림을 바를 경우에는 썬크림을 먼저 바르고 기피제를 그 위에 사용해야 한다.
- 옷 입은 몸 내부에는 기피제를 뿌릴 필요는 없으며, 손, 눈, 입, 상처부위, 가려운 피부
주위에 사용하지 않는다.
|
 |
- 야외 취침시 텐트 내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 사용을 권장한다.
|
 |
- 3살 미만의 아기 및 어린이에게는 모기 기피제 사용을 자제한다.
|
 |
- 성인의 손에 기피제를 뿌린 후에 아이 얼굴에 조금씩 발라준다.
|
 |
실내(주택, 아파트, 건물 등) 모기 기피 및 방제법 |
- 문과 창문에 방충망 및 해충 방지용 스크린을 사용한다.
|
 |
- 취침 전, 야간 실내 기온를 낮게 조성하고 침대에 모기장을 설치한다.
|
 |
- 실내 환기를 해야 할 때에는 모기 활동이 적은 시간대를 이용해 실내 환기를
진행한다.
|
  |
- 부엌, 화장실의 하수구에 스크린 망을 설치하여 모기가 하수구를 통해서
집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
 |
- 실내 내부에 살충제 스프레이를 사용하고 모기가 쉴 만한 곳에도 뿌린다.
너무 자주 사용은 금 하며,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 후 사용한다.
|
 |
- 취침 2시간 전 전자모기향 사용, 취침 시 모기향 꺼짐을 확인하고
환기 후 취침한다.
|
 |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