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재생센터 신재생에너지
신재생 에너지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물·지열(地熱)·강수(降水)·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서 다음의 에너지원을 말합니다.
분야별 신재생에너지원
-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 연료전지,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수소에너지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폐기물에너지
- 생물자원을 변환시켜 이용하는 바이오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
- 석탄을 액화·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重質殘渣油)를 가스화한 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
- 그 밖에 석유·석탄·원자력 또는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에너지
※ 하수열 에너지원
하수열, 하천수열 등 미활용에너지의 경우 법규상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지 않지만 서울시는 이를 포함 시켜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추진사업
- 추진배경
서울시는 「에너지 살림도시, 서울(2014.8)」을 통하여 2020년까지 전력 자립률 20% 목표로 에너지 정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또한, 환경부의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2010.1)」에 따라 2030년까지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률 50% 달성을 목표로 전력절감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할 계획입니다.
2008년 ~ 2015년 추진사업
소화가스 연료화 사업(중랑, 난지, 탄천, 서남)
- 사업내용 : 하수처리과정 중 발생하는 소화가스로 도시가스 연료 대체
- 사업대상 : 슬러지처리시설, 음식물처리시설 및 차량연료 등
- 사업효과 : 연간 약 25,000TOE의 에너지 절감효과
태양광 발전사업(민간투자사업 포함)
- 사업내용 : 중랑, 난지, 탄천, 서남물재생센터 부지를 활용하여 태양광발전사업 실시(민간자본사업 포함)
- 시설용량 : 4개 센터 총 5,544.5kW
- 사업효과 : 연간 약 1,586TOE의 에너지 절감효과
바이오가스 연료 열병합 발전(민간투자사업)
- 사업내용 : 소화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으로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
- 시설용량 : 난지 (3.06MW), 서남(5.8MW)
- 사업효과 : 열은 소화조 가온에 우선 공급 후 잔여 열은 지역난방공사 활용, 전기는 전력거래소에 판매
지하공동구 자연채광 사업
- 사업내용 : 태양광에 의한 쾌적성 및 살균효과 등으로 지하공동구 환경개선
- 사업규모 : 지하공동구(포기조) 총 245개소 (중랑, 서남)
- 사업효과 : 연간 약 20TOE의 에너지 절감효과
방류수 열회수 관리동 냉·난방 사업
- 사업내용 : 방류수에 잠재하는 열을 열펌프로 회수하여 냉난방시설에 활용
- 사업대상 : 난지, 서남 관리동 냉·난방 시설
- 사업효과 : 연간 약 12TOE의 에너지를 절감하여 관리동 냉난방 공급
소화가스정제로 도시가스 공급(민간투자사업)
- 사업내용 : 버려지던 소화가스를 도시가스로 제조하여 일반가정에 공급
- 사업규모 : 중랑물재생센터 소화가스 약 26,000㎥/일 공급
- 사업효과 : 매년 도시가스 5,280,000㎥을 약 7,000세대 가정에 공급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사업(민간투자사업)
- 사업내용 : 처리수의 열을 이용하여 지역난방으로 공급
- 사업대상 : 탄천센터 하수열 이용
- 사업효과 : 연간 20만Gcal 이상의 열을 생산하여 아파트 2만 세대 난방 공급
2016년 추진 사업
방류수를 활용한 소수력발전 사업
- 사업내용 : 물재생센터의 방류수를 활용한 소수력발전사업
- 사업규모 : 서남센터(100kW), 중랑센터(60kW), 탄천센터(60kW)
- 사업현황 : 서남물재생센터 상업발전 실시('15.4월), 중랑센터 착공('15.11월)
- 사업효과 : 버려지던 방류수를 활용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에 기여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사업(서남센터, 민간투자사업)
- 사업내용 : 처리수의 열을 이용하여 지역난방으로 공급
- 사업대상 : 서남센터 하수열 이용
- 사업효과 : 마곡지구에 연간 150,000Gcal의 열 공급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