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쏜 위성
2021.2.18.목~7.25.일(월요일 휴관)
문화비축기지 T5 이야기관(2F), 영상관(1F)
무료 사전예약 또는 현장접수(20명 선착순)
문화비축기지는 2021년을 희망차게 시작하기 위한 첫 번째 기획전으로 <내가 쏜 위성>을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문화비축기지의 전신인 ‘석유비축기지’ 건립시절 문화사를 톺아보는 것으로 석유비축기지가 건립되어 운영하던 당시를 반영하는 유물자료들과 70~80년대 시대를 해석한 작품 그리고 문화사 자료들을 모아 라키비움 형식으로 소개합니다.
“달려 달려 달려 멀리 달려라 · 날아 날아 날아 멀리 날아라
내가 쏜 날아가는 위성아 · 쉬지 말고 우주를 날아라
달나라를 지나 별나라로 · 어디엔가 멀리 그대 있으리
내 마음을 가득 싣고 달린다 · 그 가슴에 내 마음을 쏘아라
오- 힘차게 날아라 · 음- 너는 나의 모든것 그대에게 가라
우주속을 헤치고 멀리 날아라 · 수많은 별도 헤치고 달려라
저멀리 그 모습이 보인다 · 얼마나 아름다운 모습이냐
오- 그대에게 가까이 · 음 -너는 나의 모든 것 · 그대를 잡아라”
전시제목 ‘내가 쏜 위성’은 1982년 신중현과 뮤직파워 2집에 수록된 곡으로 개발과 발전, 막연한 미래에 대한 질주, 억압의 기제로부터 청춘의 자유를 외치는 듯 시대의 다양한 변곡점을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문화비축기지의 전신인 석유비축기지 시절과 시대적 분위기를 담은 작품과 문화사 자료들을 통해 한 시대를 향수하며 접근해볼 수 있습니다. 그 시절은 우리에게 무엇이었을까요.
참여작가 4인(권민호, 권혜원, 양영신, 정재호)은 당대 주요 사건, 인물, 시대적 분위기, 특유의 시대적 도상을 창작 모티브로 삼아 영상과 회화, 입체 작품 16점을 선보입니다.
울산 한국석유공사에서 발행한 계간지 <석유>(1979창간호~1985발행분)를 비롯하여 석유시추 성공과 유전개발을 기념하는 ‘석유방울’ 문진 20점, 석유개발공사 설립에 관한 법안과 석유비축기지 종료업무에 관한 서류 등 총 88점의 유물이 소개됩니다.
새마을 운동 관련하여 <새마을운동 미술작품 도내순회전 전시리플렛>(1977)과 시대의 지향성을 읽을 수 있는 각종 포스터 자료 등이 함께 전시됩니다.
산업화, 도시화, 인간소외, 농촌문제, 노동문제 등 개발사회가 내포하고 있던 의제를 다룬 대표적인 문학작품과 사회학 도서들, 당대 만화책들(SF물, 스포츠물, 성인물 등)을 직접 열람하고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전시관람안내
› 전시기간: 2021.2.18.목~7.25.일(월요일 휴관)
1회(10:00~11:00), 2회(11:00~12:00), 3회(12:00~13:00), 4회(13:00~14:00), 5회(14:00~15:00), 6회(15:00~16:00), 7회(16:00~17:00)
› 관람방법: 무료 사전예약 또는 현장접수(회차당 20명)
- 사전예약(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https://yeyak.seoul.go.kr/reservation/view.web?rsvsvcid=S210213095612401268
- 현장접수(문화비축기지 입구 안내동): 회차당 20명에서 사전 예약자 수를 뺀 인원으로 현장접수
- 관람객 동선 관리를 위해 입장은 엘리베이터를 이용, 퇴장은 계단을 이용해주세요
- T5 전시장 입구에서 예약자 명단 확인 및 코로나 발열체크에 협조 바랍니다.
- 문화비축기지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주세요.
- 전시 관람 전 손소독제를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체온이 37.5도 이상일 경우, 관람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주최주관 | 서울시 문화비축기지
참여작가 | 권민호 권혜원 양영신 정재호
자료제공 | 한국석유공사, 스페이스빔, 국립민속박물관
전시구조물 | 디자인·제작 중간공간제작소, 시각디자인 일상의실천, 운송설치 ART153, PIA
제작협력 | 전유정(자료), 노승표(영상)
전시담당 | 최윤정(문화기획팀 전시담당주무관)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