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동네뒷산 공원조성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공원) 중 동네와 접한 지역이 토지주의 관리 소홀, 무단경작, 쓰레기투기 등으로 훼손되는 문제와 토지보상요구 민원을 해소하고 마을단위로 지역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지역거점공원으로 조성
사업 기본 방향
- 공원이 부족한 지역 중심으로 마을단위로 이용할 수 있는 휴식 및 녹지공간 확충
- 지역별 주민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공원으로 조성
- 생태·경관상 복원이 필요한 지점 ⇨ 녹지 등 생물 서식공간 및 경관 복원
- 등산로 및 둘레길과 연결되는 구간 ⇨ 만남의 장소와 안내사인 반영
- 놀이시설 및 휴게시설이 부족한 지역⇨ 자연형 놀이시설 및 휴게시설 등 도입
- 공동주택위주의 도시재편으로 노인·주부들의 소일이 필요한 지역 ⇨ 텃밭 등 도입
- 참여형 사업으로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수요에 충족하고 만족도 향상
사업 추진 현황
- 년도별 추진현황
- 2007 ~ 2010
16개구 64개소 701,198㎡ - 2011년 대상
10개소 89,927㎡ - 2012년 대상
6개소 29,000㎡ - 2013~2014
9개소 75,073㎡
- 2007 ~ 2010
그간 조성 사례
- 훼손지 녹지 복원 (북한산도시자연공원 - 은평구 불광동 산42-2 일대)
▶
- 지역 거점공원 ( 상도근린공원 - 관악구 봉천동 산103-54 일대 )
▶
- 어린이놀이 및 휴게 공간 ( 관악산도시자연공원 - 관악구 신림동 산63-1 일대 )
▶
- 운동 · 휴게시설 설치 ( 꿩고개근린공원 - 강서구 방화동 산103-1 일대 )
▶
이용 만족도조사 결과
- 이용만족도 분석
- 이용유형
공원으로부터 반경 1.5Km이내 40대 이상 거주자가 휴식 및 운동을 위해 주 1~2회 이상 도보로 접근하여 30분 ~ 2시간 가량 채류 - 만족도 - 92.8% 만족
- 선호시설 - 녹음, 운동시설, 산책로
이용자만족도 (만족 92.8% )
이용빈도 (주1~2회 이상 77.1%)
이용요일 (구분 없이 이용 39.2%)
이용목적 (운동,건강 56%)
접근방법 (도보 74.4%)
접근소요시간 (20분 이하 60%)
- 이용유형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