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노선 적은 버스정류소에 알뜰BIT(버스정보안내단말기) 344대 확충 - 알뜰 BIT 시내버스정류소 244곳, 마을버스정류소 100곳 총 344곳에 설치 - 알뜰BIT확충으로 시내버스정류소의 BIT설치율 50%→ 60% 향상 - 별도 지주 불필요, 소규모 화면으로 기존 독립형BIT 제작·설치비의 1/3소요 - 시, “저비용·고효율 BIT 확대, 지역특성 맞춤형 BIT로 경제성·효율성 확보할 것” |
□ 서울시는 버스이용승객의 이용편의와 경제성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알뜰 BIT(버스정보안내단말기, Bus Information Terminal)를 작년 400대 설치한데 이어, 올해 344대 추가 설치한다고 밝혔다.
○ 서울시는 2016년 소수노선(4개 이하) 운행 정류소 이용승객의 버스정보이용편의를 위하여 시범적으로 추진한 알뜰BIT설치사업을 올해에도 이어가, 시내버스정류소 244대, 마을버스정류소 100대, 총 344대를 추가설치하기로 하였다.
□ 알뜰BIT는 노선도 표지판과 일체형으로 제작해 별도 지주설치가 필요 없고, 기존 독립형 BIT에 비해 1/3 수준의 비용만으로 제작·설치가 가능하다.
○ 또한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소형(3단6열)으로 구성하여, 1~4개의 버스도착정보 표출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 올해 알뜰BIT 344대가 추가되면 시내버스정류소의 BIT설치율은 60%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이를 통해 버스이용만족도가 향상되어 대중교통이용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시는 2005년 시내버스정류소 BIS 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2008년 버스정보안내단말기 76대 시범설치를 시작으로 매년 200대 설치를 진행하였으며, 2014년에는 민간사업자의 투자를 유치 2,023대의 버스정보안내단말기를 설치하였다.
○ 하지만 한정된 예산문제로 중앙버스정류소 및 다수노선 정차정류소와 이용승객이 많은 정류소 중심으로 설치해왔다. 이에 서울시내 총 6,221개소 버스정류소 중 5~15개 이상 노선이 운행하는 정류소의 BIT 설치율은 78.2%로 비교적 높은 편이나, 1~4개 노선만이 운행하는 정류소의 BIT 설치율은 36.5%에 불과한 실정이다.
※ 연도별 버스정보안내단말기 설치 현황
구 분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소계 |
합계 |
서울시 |
6 |
70 |
101 |
51 |
474 |
30 |
61 |
76 |
160 |
577 |
1,606 |
3,629 |
K T |
- |
- |
- |
- |
- |
- |
- |
2,023 |
- |
|
2,023 |
※ 운행노선수별 BIT 설치 정류소 현황
(단위 : 개소, 2016.12. 기준)
노선수 구분 |
1개 |
2개 |
3개 |
4개 |
5~7개 |
8~14개 |
15개 이상 |
합 계 |
설치 정류소 |
128 |
361 |
466 |
532 |
852 |
671 |
171 |
3181 |
미설치정류소 |
1106 |
750 |
491 |
236 |
362 |
96 |
14 |
3055 |
합 계 |
1234 |
1111 |
957 |
768 |
1214 |
767 |
185 |
6236 |
BIT 설치율 |
10.4% |
32.5% |
48.7% |
69.3% |
70.2% |
87.5% |
92.4% |
51.0% |
36.5% (1,487/4,070) |
78.2% (1,697/2,166) |
□ 서울시내 버스정류소에 설치된 BIT에 대한 시민만족도는 약 90%에 달할 정도로 높고, 10명 중 9명 이상이 추가설치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시는 알뜰 BIT가 한정된 예산으로 시민들의 BIT 설치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 서울시가 ’16년 4월 실시한 버스정보안내시스템 만족도 조사 결과, 버스정보안내단말기에 대한 이용만족도는 89.7%, 추가 설치 필요성은 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또한 120 다산콜센터, 자치구 등을 통해 BIT 설치 요구가 꾸준히 들어오고 있다. (’14년 356건, ’15년 635건, ’16년 586건)
□ 윤준병 도시교통본부장은 “저비용·고효율 BIT 도입을 확대하고, 지역특성을 고려한 단말기 설치로 경제성·효율성 확보해나가겠다.”며, “궁극적으로는 서울시내버스 모든 정류소에 BIT를 설치하여 누구나 버스도착정보를 보편적 서비스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