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분야 누리집 - 서울특별시





		
		

	 
	
	

간선도로 1,018km 교통안전시설 전수조사, 교통안전 정책 기반마련에 교통신기술 도입

담당부서
교통운영과
문의
2133-2466
수정일
2016.08.17
간선도로 1,018km 교통안전시설 전수조사, 교통안전 정책 기반마련에 교통신기술 도입

 

  • 8월부터 간선도로 1,018km 교통안전시설물 전수조사교통 환경 안전·정확성 제고
  • 교통안전시설물 관리 시스템(T-GIS)의 정확도 개선해 ’17년부터 시민에게 제공
  • 현장 탐측에 GPS 기반의 교통 신기술 MMS(Mobile Mapping System) 도입
  • MMS 장비로 교통사망사고 다발지점 교통안전표지에 대한 주·야간 시인성 개선 지점 도출
  • , “교통신기술 활용한 전수 조사로 안전한 도로 교통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

 서울시가 간선도로 1,018km 구간에 설치된 교통안전시설물을 대상으로 8월부터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수집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통안전시설물 DB를 재구축해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도로 교통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시는 수집한 교통안전시설물의 정확한 위치 정보와 도로·차로폭, 중앙버스정류소 승차대 수, 정류소 유형 정보를 토대로 기 구축 운영 중인  교통안전시설물관리시스템(T-GIS) : Traffic Safety Facilitie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교통안전시설물의 위치, 속성 DB를 지리정보(GIS) 기반에서 관리하는 시스템

교통안전시설물 관리 시스템(T-GIS)의 정확도를 개선해 ’17년부터 시민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체계적인 교통안전 시설물 관리 목적으로 지난 ’07 T-GIS를 구축해 GIS 전자지도에 교통안전시설의 설치위치, 공사이력 등을 표시한 정보를 관련 기관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조사 대상은 5종의 교통안전시설물 (▴신호등 ▴신호제어기 ▴횡단보도 ▴교통안전표지 ▴신호기 또는 표지판 지주)과 차로·도로 폭, 중앙버스전용차로 12개 노선 버스정류소이며, 차량에 탑재해 주행하면서 주변 지형·지물을 측량할 수 있는 교통신기술인 MMS(Mobile Mapping System) 장비를 이용해 탐측한다.

mms 대상

시는 이번 조사 결과로 시설물의 위치·시스템 개선이 필요한 지점을 찾아내고, 시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데이터를 활용할 예정이다.

현재 도로 공사 등 현장 여건 변화로 인해 교통안전시설물의 위치, 속성이 달라지거나 주변 운영체계와의 통일성이 확보되지 못한 사례, 물리적 여건에 의해 시설물의 시인성 확보가 어려운 지점 또는 통행 경로 상에 위치해 시민통행의 불편 및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시는 MMS 장비를 이용한 정밀한 측정을 통해 이와 같은 지점을 찾아내고, 시설 개선을 위한 기반자료를 마련할 계획이다.

 

mms

 

또한 시는 MMS 장비를 이용해 시범적으로 교통·사망사고 다발지점 교통안전표지에 대한 주·야간 시인성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도출해 개선 대책 마련에 나선다.

시범대상 구간은 보행량이 많고 차 대 사람 사망사고 다발 구간, 야간 사고발생이 많은 구간으로 선정했으며,

MMS 장비를 통해 교통안전표지 형태·위치의 적절성, ·야간 주목도를 확인하여 시인성 확보가 시급한 대상을 우선 개선하고자 한다.

 

한편 이번 조사에 이용되는 MMS 장비는 교통신기술로 지정되어 있는 측량장비이며,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중에 시설물 GPS좌표 및 검수자료(영상촬영)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기존 측량 방법 대비 신속·정확한 조사가 가능하다.

MMS GPS 및 각종 센서(3차원레이저측량기술(LiDAR) )를 활용한 도로 선형 도면화 기술로, 국가 R&D를 통해 국토교통부 교통신기술 제16호로 지정된 기술이며, 조사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 40km 이상 조사 실시 예정)

 

다만, 가로변 주·정차 차량에 의해 자료 취득 사각지대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원활한 조사를 위해서는 시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조사 취득률 100%를 위해 장애물(가로수, ·정차 버스 등)이 위치한 구간은 영상 검수 및 조사원 현장투입을 통해 보완 조치할 예정이며,

고층빌딩 밀집지역 및 터널 등 GPS 수신 장애 구간은 상시 기준점 및 LAS 데이터 LAS 데이터 : 레이저스캐너 및 카메라에서 취득된 영상 센서에 3차원 좌표를 부여한 3차원 포인트 데이터 평가를 통해 GPS 음영지역 데이터를 보정한다.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