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배경
- 다양한 시민이 이용하는 공공공간 등에 이용자별 신체적·심리적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는 디자인 부재
- 법적 최소 기준의 설치를 넘어 장애인·노인·어린이·외국인 등 모두가 사용하기 편리한 환경 조성이 필요
사업목적
성별, 연령, 장애유무, 문화적 배경에 상관없이 다양한 시민들로 구성된 시민체험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공간 등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여 보다 안 전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 및 시민 삶의 질 향상 기여
사업대상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고 개선이 시급한 지역단위 공공공간
사업내용
- 성별, 연령, 장애유무, 문화적 배경에 상관없이 유니버설디자인 시민체험단을 구성하여 공공공간 문제점 및 개선사항 도출
- 시민체험단 의견을 바탕으로 공공시설의 문제점 발굴,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통한 공간 디자인 개선(안) 개발 및 적용
추진방법
- 관련 실국 및 자치구에서 대상지 추천 및 신청, 선정위원회를 통해 사업대상지 신청
- 이용자 불편사항 도출(현장조사, 시민체험단 체험 및 워크숍 개최 등)
- 디자인 개발, 보완, 검증 및 디자인 시공
- 적용디자인 체험 등 홍보 및 확산
추진실적
- '15년 : 종로구 탑골공원 일대 락희거리 조성
- '16년 : 금천구 한내마실터, 종로구 행촌마을길 조성
- '17년 : 성동구 보건소 내, 외부 공간 조성
- '18년 : 금천구 G밸리 가산디지털단지역 일대 공공공간 조성
- '19년 : 동대문구 화목경로당, 종로구 충신윗마을 일대 공공공간
- '20년 : 강서구 화곡중앙시장 일대 공공공간
추진사례
‘19년 공공공간 등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사례
- 동대문구 화목경로당 내, 외부 공간 조성
동대문구 화목경로당
※ '경로당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북' 참조 : http://ebook.seoul.go.kr/Viewer/8ALI4SJDV4B6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