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로 서울의 역사성 회복
-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 개별 지자체의 입장이 아닌 국익적 관점에서 접근되도록 국민공감대 형성
- 이코모스 등 전문가 대상 「한양도성 세계유산등재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 중앙정부·민간단체와 협력관계 구축, 언론·SNS를 통한 홍보
- 등재에 대한 서울시의 적극적 의지 표명
- 등재기준 충족을 위한 학술조사·연구, 국제학술대회 개최 등
- 시장공관을 전시관으로 민간에 개방(혜화동 전시 안내 센터)
- 개별 지자체의 입장이 아닌 국익적 관점에서 접근되도록 국민공감대 형성
- 세계적 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성곽 보존·관리·활용계획 마련
- 성곽보존 관련 유해환경 근본적 개선
- 주변 개발계획 관리, 성곽 소재 사유지 매입, 성벽주변 잡목제거, 경관조명 개선 등
- 기존 복원구간 진정성(전통기법, 형태, 재료) 제고 등 체계적으로 보존·관리
- 주변 명소(성북동, 부암동 등)와 연계한 프로그램 마련 및 접근성 개선 등
- 성곽보존 관련 유해환경 근본적 개선
풍납토성 복원 지속 추진
- 사적지정 부지 연차별·지속적 토지매입 및 주변정비
- 풍납토성 내 주민 정주성 향상을 위한 지원시설 조성 추진
서울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보존방안 현행화
• 보존방안 현행화를 통해 문화유적·매장문화재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유적 보호와 도심 개발의 균형·조화 유도
• 연차별 추진 내용 및 계획
- 강북권역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보존방안 현행화 완료(΄10~΄20년)
- 강남권역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보존방안 현행화 추진 중(΄21년~)
-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온라인에서 보존방안 확인 가능
훼손된 역대 정부수반유적 복원 및 관광자원화
•사업대상 : 총 2개소(박정희 가옥, 최규하 가옥)
•시민들의 역사 교육현장 및 주변 명소와 연계하여 관광코스로 활용
- 원형 복원 후 전시 공간 조성
- 개방시기 : 최규하 가옥(΄13년), 박정희 가옥(‘14년)
-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시스템(http://yeyak.seoul.go.kr/) 통해 예약제와 현장 접수 병행
- 깊이 있는 관람 위해 안내해설사의 전시해설 제공
무형의 전통문화 보전 및 계승 발전
• 무형문화재 발굴 및 종목 지정, 전승자 육성
•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및 전승활동 지원(52종목)
- 기·예능 보유자, 보유단체, 전수교육조교, 전수장학생
• 무형유산의 가치 발굴·확산 및 시민의 향유 기회 확대
- 기록 및 조사 연구, 서울무형문화축제 개최, 서울무형문화재 교육전시장 운영
• 사라져가는 전통문화 발굴·지원(10개 내외)
- 우리고유의 전통염직, 한지, 금속공예 등 관련 문화예술단체 또는 개인
전통문화유산 활용 관광자원화 및 문화향유 기회 확대
•남산골한옥마을(연 200만명)
- 세시절기행사, 남산골 야시장, 전통문화 체험, 전통혼례 시연 등
•운현궁(연 30만명)
- 고종·명성후 가례의식 재현, 술시암행, 퇴근길 운현궁, 전통예절교실, 전통혼례, 전통의상체험 등
•무형문화재 전승자와 시민이 함께하는 프로그램 운영 확대(연 2,000명)
- 서울무형문화재 교육전시장 종목별 일반교육(3개월~5개월) 및 일일체험 프로그램, 전시 등 운영
•보신각 타종(연 10만명) : 3.1절, 8.15 광복절, 제야의 타종행사
•왕궁수문장 교대의식, 보신각 상설타종 및 남산봉수의식(연 170만명)
•조선시대 과거제, 종묘대제, 사직대제, 환구대제 재현행사 등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