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의 도시 서울 프로젝트 <작가, 시민과 서울을 나누다> 개최 |
서울시민이 사랑하는 시와 문학작품을 낭송하고 시인 및 작가와의 토론을 통해 문학에 대한 시민의 이해 및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봄 문학토론회 및 시낭송 개최 |
일 시 : 2017. 5. 12(금) 15:00 ~
장 소 : 문학의 집· 서울 산림문학관(중구 예장동)
내 용 : 문학 특강, 시 낭송, 저자 사인회 등
- 문학 특강 (주제 : 서거 10주년, 피천득과 그 시대 등)
- 시인의 작품 낭송 (전문 낭송가)
작 품 명 |
특강자 |
낭송자 |
시노래 |
서거 10주년, 피천득과 그 시대 등 |
임헌영 |
|
|
피천득 문학이 한국문학사에 갖는 의미 재조명 등 |
김종완 |
|
|
피천득의 ‘이 순간’ |
|
한경동 |
|
김광섭 ‘저녁에’, 오봉옥 ‘아비’ 등 |
|
|
신재창 |
피천득의 ‘인 연’ |
|
홍용선 |
|
<특강자 : 문학평론가 임헌영>
학 력 |
중앙대학교 대학원 (현대문학) |
|
주요경력 |
∘현재 서울디지털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민족문제연구소장 ∘한국문학평화포럼 회장 |
|
작 품 집 |
∘임헌영 평론선집, 불확실시대의 문학, 희망, 분단시대의 문학, 그리운 곳 차마 그리운 곳 등 |
<시낭송가 : 시인 한경동>
주요경력 |
∘기형도 시낭송예술단 단장 ∘기형도 전국시낭송대회, 소월 전국시낭송대회 심사위원 ∘재능전국시낭송대회 금상 ∘문학의집·서울 시낭송대회 은상 |
|
작 품 집 |
∘누운섬, 빛나는 상형문자, 비둘기는 야성의 숲이 그립다, 과일의 꿈 등 |
※ 더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문작가협회 홈페이지(www.koreaessay.com)를 방문하시거나 T. 02-707-3071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