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은 6백여 년 동안 광화문 앞길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시기별, 분야별로 살펴본 <광화문 앞길 이야기>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서울의 (정치적) 중심은 광화문 앞에 펼쳐진 넓은 공간이다. 강남개발로 인해 그 중요성이 많이 감소했지만, 광화문 앞길은 여전히 정부서울청사 등 정부의 주요 기관이 자리하고 교보빌딩 등의 상업시설도 위치하여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서울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2009년에는 광화문 광장이 개장하면서 시민들의 휴식·여가공간으로 변신했으며, 작년(2020년) 말부터 역사성을 강화하고 좀 더 많은 시민들이 광장을 향유할 수 있도록 광장을 넓히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서울역사편찬원에서는 이 일대가 광장으로 조성될 때까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시민들과 공유하고자 ≪광화문 앞길 이야기≫ 발간을 기획하였다.
□ 조선 왕조는 한양 천도 이듬해인 1395년에 경복궁을 건립한 뒤, 광화문 앞쪽에 의정부와 육조를 비롯한 주요 관청들이 입지하는 ‘관청거리’를 조성했다. 광화문 앞길의 관청들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지만 17세기 전반을 거치면서 복구됐다. 그러나 경복궁이 중건되지 못하고 창덕궁이 그 역할을 대신했기 때문에, 정치·행정의 중심 공간이라는 광화문 앞길의 중요성은 조선 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19세기 후반 경복궁을 중건할 때 광화문 앞길의 관청거리도 재정비됐다. 정권(政權)을 상징하는 의정부와 군권(軍權)을 대표하는 삼군부가 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천도 초창기 모습을 회복했다.
□ 1876년 개항 이후 정부의 근대화 정책 추진에 따라 광화문 앞길에 있던 관청의 위치와 명칭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일제강점기에는 그동안 광화문 앞길, 육조거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던 이곳에 ‘광화문통’이란 명칭이 붙여졌다. 경복궁 앞쪽에는 조선총독부 청사가 세워졌으며, 광화문통에는 경기도청, 경성중앙전화국 광화문분국, 경성법학전문학교 같은 행정·교육시설과 조선보병대·경찰관강습소 같은 군대·경찰 시설이 들어섰다. 또한 1920년대에는 광화문 앞을 경유하여 효자동에 이르는 전차 길도 놓여졌다.
□ 광복 직후 광화문통은 세종로로 개칭됐다. 1960년 건립된 시민회관이 소실된 자리에는 세종문화회관이 더 크게 세워졌고, 1970년에는 정부종합청사(현 정부서울청사)가 건립되면서 관청거리로서의 면모를 일신했다. 정부종합청사 맞은편에는 현재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미국 대사관으로 사용하는 쌍둥이 빌딩도 세워졌다. 1970년대 후반부터 현대빌딩과 교보빌딩 등 민간 상업시설도 이 일대의 남쪽 영역에 들어서면서 광화문 앞길은 고층의 민·관 건물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1995년에는 광복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옛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하여 백악에서 경복궁을 거쳐 광화문 앞길로 이어지는 축선도 되살아나게 됐다.
□ 이 책은 광화문 앞길의 조성으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 일대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시기별·분야별로 살펴보고 있다. 조선시대·근대·현대로 시기를 나누어 각각 5편의 글을 담았고, 문학·영화·지도·대중가요·그림 분야에 투영된 광화문 앞길의 변화상을 다룬 5편의 글도 실었다.
□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 책의 발간으로 광화문 앞길의 발자취를 확인하고, 시민들과 더욱 친숙한 공간으로 재탄생되어 향후 보다 나은 공간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이 책은 서울시청 시민청 지하1층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history.seoul.go.kr)에서 1월부터 전자책(e-book)으로 열람할 수 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