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백제박물관에서 만나는‘동북아 석기 테마여행’
- 국내 최초로 중국 동북지역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석기문화 소개하는 전시
- 수렵․채집생활과 농경생활에 사용한 잔석기細石器와 석기 농경도구 전시
- 갈돌, 갈판으로 곡식을 빻고 현미경으로 석기를 관찰하는 체험전시
- 연세대 이상윤 교수 기증유물전시로 기증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전달
- 전시기간 : 9월 17일(화) ~ 11월 17일(일)
서울시는 9월 17일(화)부터 11월 17일(일)까지 두번째 기증유물특별전시회 「돌, 깨어나다_동북아 석기 테마여행」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연세대학교 이상윤 교수로부터 기증받은 3만여점의 유물 중 동북아 신석기시대 사냥과 채집생활에 사용한 잔석기와 농경생활에 사용한 간석기를 소개하는 특별전이다.
- 연세대학교 법학대학원 이상윤 교수가 심혈을 기울여 수집하여 박물관에 기증한 유물로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기증유물특별전시이다.
이번 전시는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식량을 확보할 때 사용한 각종 돌도구를 통해 고대기술의 발전과 생활상을 함께 느껴볼 수 있는 재미있는 전시로 구성된다. 간석기는 도끼, 괭이, 보습, 갈판․갈돌, 등의 농경도구가 중심이며 잔석기는 화살촉, 좀돌날몸돌, 뼈손잡이 돌날칼骨柄石刃刀, 밀개, 긁개, 돌날 중심이다.
- 돌로 도구를 만드는 기술은 인류기술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돌도구는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주요한 생활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오늘날도 숫돌 등 돌로 만든 도구는 계속 사용하고 있다.
- 잔석기는 동북아시아를 비롯 유럽, 시베리아 등 전 세계에 걸쳐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만들어 사용한 도구인데 전기, 중기에 사용한 큰 종류의 석기보다 슴베찌르개, 밀개, 긁개, 화살촉 등의 작은 석기를 말한다.
- 구석기시대는 지역별 문화양상이 복잡하지 않아 잔석기 만드는 기술은 공통성이 많았지만 지역별로 특징적인 기술도 있었다.
- 중국 요녕성과 내몽고지역의 신석기시대는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수렵․채집생활 뿐만 아니라 농경생활도 함께 하여 잔석기기술로 만든 수렵․채집도구와 간석기로 만든 농경도구를 사용하였다.
- 중국 동북부 요녕성과 내몽고지역의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돌날石刃과 좀돌날細石刃기술로 만든 잔석기와 갈기기법으로 만든 간석기를 사용하면서 싱룽와興隆洼문화를 비롯 홍샨紅山문화 등 한반도 신석기문화와 연결되는 우수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요녕성과 내몽고지역은 농사도 지었지만 기후여건상 청동기시대까지도 사냥을 하였기 때문에 잔석기를 계속 사용하였다.
- 한반도와 일본지역에서는 신석기시대에 잔석기 사용을 급격하게 줄이고 간석기를 널리 사용하였다.
이번 전시에는 갈돌과 갈판에 조, 수수, 벼를 갈아보고 현미경으로 석기에 남아 있는 제작흔적과 사용흔적을 관찰하는 체험전시도 진행한다.
-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사용한 반달돌칼로 곡물이삭을 따고 원시방아인 갈돌과 갈판에 조, 수수, 벼를 갈아 보는 살아있는 체험코너를 운영하고, 또한 도구에 남아 있는 흔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구의 용도를 추정하는 체험도 할 수 있다.
또한, 금번 특별전에는 초청강연과 함께 가을 수확철에 맞추어 갈돌과 갈판으로 벼․조․수수 갈기를 비롯한 몸돌 복원 입체퍼즐, 현미경으로 석기 제작흔과 사용흔 관찰 등 다양한 체험행사도 펼쳐질 예정이다.
구분 |
주제 |
전시 내용 |
비고 |
Part1 |
기증자 이상윤 |
- 기증자 이상윤 프로필 및 인터뷰 영상 |
설명패널 영상 |
석기의 탄생과 기술의 발전 |
- 석기의 탄생 - 동북아시아 석기 발전사 연표(유물, 사진자료) |
설명패널 그래픽패널 |
|
Part2 |
이상윤 기증 석기 소개 |
- 이상윤 기증 석기 구성 및 설명 |
설명패널 |
수렵채집사회 의 석기 |
석기를 통해 살펴본 중국 세석기 문화와 생업경제 - 이상윤 기증 돌날석기 및 소형석기 -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주요 유적 석기 - 한국, 중국의 세석기 유적 분포 지도(유물 도면) |
설명패널 그래픽패널 |
|
- 면, 선, 색의 조화가 아름다운 석기 전시 |
|||
농경사회의 석기 |
석기를 통해 살펴본 중국 신석기시대 문화와 생업경제 - 이상윤 기증 마제석기 - 한국 신석기시대 유적 석기 - 중국 신석기문화 분포 지도(유물 도면) |
설명패널 그래픽패널 |
|
Part3 |
석기 제작 |
돌날석기와 마제석기 제작 - 제작 흔적이 남아있는 석기 - 제작에 사용된 망치, 가죽 등 보조 자료 |
설명패널모형 영상 석기 공방 체험 |
석기 쓴자국 분석 |
돌날석기와 마제석기 쓴자국 분석 - 사용흔 분석 대상 석기 - 사용흔 결과 데이터 및 사진, 영상 등 |
설명패널 영상 현미경 관찰 체험 |
|
기증의 아름다움 |
유물 기증 홍보 - 유물 기증에서 전시까지의 과정 설명 - 기증 홍보 영상 |
설명패널 그래픽패널 영상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