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베이징 수교 20주년] 문화로 새 역사 쓴다!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 예술감독과 정상급 오케스트라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웅장한 하모니가 21일(일) 중국의 랜드마크 공연장인 국가대극원(国家大剧院, NCPA National Centre for the Performing Arts, Beijing)에 울려 퍼졌습니다.
이날 19시 40분부터 ‘서울-베이징 자매도시 20주년’을 기념해 열린「서울-베이징 교류의 해 개막식」에서 박원순 서울시장도 참석해 문화를 통한 도시 간 교류 의지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공연의 하이라이트는 세계 작곡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그라베마이어상’을 수상한 작곡가 진은숙과 중국 상하이 출신의 생(笙) 연주자 우 웨이가 함께한 합작품 연주였습니다. 연주는 ▴베르디 ‘운명의 힘’ 서곡 ▴진은숙 생황 협주곡 ▴베토벤 교향곡 5번으로 구성, 휴식시간 없이 총 61분간 이어졌습니다.
서울시는 이 밖에도 ‘서울․베이징시 자매도시 20주년’을 기념한 서울의 대표 문화 콘텐츠가 4.21(일)부터 4.23(화)까지 북경시 곳곳 에서 집중적으로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적인 수준의 비보이와 팝핀 댄서들로 구성된 서울시 대표 B-Boy단인 <고스트크루>의 공연이 북경 798 예술의 거리 부근인 ‘Live Tank'에서 4.22(월)/ 4.23(화) 16~17시 각각 열리며 23일엔 박 시장도 참석해 격려할 예정!
<고스트크루> 공연은 수준급의 비보잉과 팝핀(총 6명/ 비보이 3명, 팝핀 3명)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기회로서, 국악공연을 시작으로 로봇 공연, 비보이‧팝핀 공연이 번갈아 또는 조화를 이루어 펼쳐진다. 또한 중국에서 활동 중인 비보이팀들의 단독공연 및 서울시 대표 B-Boy단의 연합공연을 통해 ‘문화’로 화합하는 모습도 연출됩니다.
공연하는 곳은 'Live Tank'로써 한국의 헤이리 예술마을과 유사한 ‘북경 798 예술의 거리’는 1950년대 세워진 군수산업기지를 변형 시키지 않고 그대로 간직한 채 예술의 거리로 변화된 대표적인 곳으로서 B-Boy 공연을 펼치는 ‘Live Tank'는 녹슨 철판 벽면, 철근 기둥 등 공장의 거친 느낌을 그대로 살린 곳입니다.
초반에는 전체적으로 잔잔한 느낌의 무빙에서 점차 역동적인 느낌으로 연출할 예정으로 마지막으로 갈수록 관람객들의 열기로 공연장을 후끈 달아오르게 할 예정입니다.
우선 중국에서 한국 전통문화를 알리는데 앞장서는 국악인 권태경씨가 판소리 및 가야금으로 아리랑, 중국노래 등도 선보이는 것으로 공연이 시작합니다. 이어 주의환기 차원에서 30cm 크기의 로봇들이 한류 노래 메들리, 싸이의 ‘강남 스타일’ 등의 음악에 맞춰 안무합니다. 뒤이어 서울시 대표 B-Boy단이 선정 전 참여했던 각종 대회 및 공연 편집 영상을 보여준 후 프리스타일로 1~2명씩 무대로 등장해 비보잉을 선보이고, 이어 귀에 익은 음악에 맞춰 잔잔한 느낌의 마네킹 공연을 선보입니다.
한편, <서울시 대표 B-Boy단>은 서울의 각종 문화행사 및 해외 기념공연에 출연,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사절단으로 활동하며 B-Boy의 위상을 높이는 한편, 서울시 및 자치구 등 공공기관과의 문화행사와 연계한 공연을 통해 B-Boy 대중화 선도에 앞장서고자 지난 3월 부터 서울문화재단이 구성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서울시 대표 B-Boy단에 소속된 비보이들은 세계 헤드스핀 다이렉트 1위, 한손 물구나무 상태로 회전하는 기술인「나인틴 나이티(Nineteen ninety)」 대한민국 1위, 대한민국 대 세계연합팀 배틀대회 「Match One's Skll. vol3」 한국대표 출신, 유연함을 기술로 하여 신체를 자유자재로 움직여 춤을 추는 Flexible B-Bo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울시 대표 B-Boy단에 소속된 ‘Animation Crew'는 세계 최고의 퍼포먼스 팀으로 수많은 공연 및 CF, TV에 활동 중이며, 각종 국제대회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는 유명한 팀입니다
박원순 시장은 “문화말로 정치와 이념을 넘어 도시 간, 국가 간 화합의 교류 매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이번 북경 서울시향 공연의 진정한 메시지”라며 “서울-베이징 자매도시 20주년이 또 다른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도시 간 실질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의 내용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서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