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분야 누리집 - 서울특별시





		
		

	 
	
	

일상지원 회복안내

2022.07.21
시민소통기획관 뉴미디어담당관
전화
02-120

롱 코비드 후유증 상담센터 운영

롱코비드란?
  • (한국 KCDC) 코로나 확진후 최소 2개월이상 지속, 다른질환으로 설명할 수 없는 증상
  • (WHO) 코로나19 감염 또는 증상 시작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피로감 등 원인을 알 수 없는 최소 1가지 이상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
  • (미국CDC) 대부분 코로나19 감염 한달 이후 4주이상 지속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재감염 및 다른 동반질환 증상과 별개인 경우

* 다양한 용어 사용중 : Post COVID-19 condition(WHO) 롱코비드(long COVID) 등

코로나 후유증 상담센터 운영현황
  • 24개 자치구에서 코로나 후유증 상담센터(대면/비대면) 운영
  • 기 간 : 2022. 05. 16 ~
  • 대 상 : 코로나 확진후 증상이 지속되어 상담이 필요한 시민
  • 운영 자치구 : 24개구 보건소 (영등포구 미운영)
  • 내 용 : 전문의 건강상태 등 증상 관리 상담 및 필요시 심리상담, 의료기관 연계

대상자 문자 발송

코로나19
증상지속자

상담신청 및 예약

각 자치구
후유증 상담센터

상담제공

전문의 → 대상자

자원연계

의료기관,
심리상담센터 의뢰

※ 기타 자치구 사정에 따라 비대면 방식 등 세부 운영방식은 자율 운영

코로나 후유증 상담센터 현황 (2022.06.24.)
코로나 후유증 상담센터 현황 - 연번, 자치구보건소, 운영개시일, 연락처로 구성

연번

자치구 보건소

운영개시일

연락처

연번

자치구 보건소

운영개시일

연락처

1

종로구 

6.7.

2148-3682

13

서대문구

6.13

02-330-8959

2

중 구

6.20

02-3396-6346

14

마포구

5.23

02-3153-9022

3

용산구 

6.20

02-2199-8158

15

양천구

6.20

02-2620-3913

4

성동구

4.25

02-2286-7057

16

강서구

7월중

02-2600-5963

5

광진구

4.18.

02-450-2809

17

구로구

6.1

02-860-3000

6

동대문구

6.7.

2127-5370(5459)

18

금천구

6.3

02-2627-2739

7

중랑구

4.18

2094-2870

19

동작구

5.23

02-820-1439

02-820-9467

8

성북구

5.25

02-2241-6153

20

관악구

5.25

02-879-7148

9

강북구

6.13.

02-901-4801

21

서초구

6.21

02-2155-8102

10

도봉구

5.27

02-2091-4634

22

강남구

4.11

02-3423-7014

11

노원구

4.15

02-2116-0741

23

송파구

6.14.

02-2147-3465

12

은평구

6.20

02-351-8762

24

강동구

5.30.

02-3425-6804

포스트 코로나 건강돌봄사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서울시가 여러분의 일상회복을 지원합니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코로나19 퇴원 혹은 완치 후 증상 지속되어 건강돌봄 관리가 필요한 자

만성질환 관리가 잘 안되거나, 의료기관 퇴원환자 등 건강돌봄이 필요한 자

  • 사업 참여 자치구에 거주하는 서울시민에 한해 신청 가능
  • 사업 참여 자치구 :

    15개 자치구
    (강북, 강서, 관악, 광진, 구로, 노원, 도봉, 동작, 마포, 서대문, 성동, 양천, 은평, 중구, 중랑)

어떤 지원을 해주나요?
건강돌봄 키트 구성건강돌봄 키트 구성

① 건강 키트 제공 (자치구 마다 키트물품이 상이할 수 있음)

② 건강돌봄팀 방문 + 유선 상담 : 의사,영양사,간호사,재활치료사,사회복지사 등

※ 대상자별 제공서비스가 다를수 있으며 '건강키트'는 건강돌봄 방문대상자로 선정 시 제공

롱코비드 심리지원

생명이음청진기란?
  • 마음의 어려움이 있는 경우, 동네 병·의원에서 진행하는 우울 검사를 통해 나의 마음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상담 등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이용방법

    1. 거주하는 자치구에 위치한 동네 병·의원에 방문해 우울 검사 진행

    2. 결과에 따라 보건소 등 마음건강상담 연계

블루터치
  • 서울시의 정신건강 브랜드명이자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추진하는 사업, 정신건강 관련 정보들을 소개하는 종합서비스 플랫폼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 서울시는 COVID-19가 지역 사회 감염으로 진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심리적 어려움을 예방 및 최소화하기 위해 심리지원단 운영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