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택치료’는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입원치료·시설치료가 아닌 ‘집에서 받는 치료’를 의미합니다.
* 입원요인,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전담병원 입원 및 생활치료센터 입소 요청
- 보다 일상적이고, 지속가능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진자 치료는 재택치료가 기본원칙으로 적용되며, 보건소 조사 결과에 따라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구분됩니다.
< 재택치료 대상자 구분 >
<집중관리군>
1) 60세 이상이거나
2) 면역저하자*로서 지자체가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자
* ①현재 종양 또는 혈액암 치료 중인 자,
②조혈모세포이식 후 2년 이내 또는 2년이 경과한 경우라도 면역학적합병증이나 면역학적 치료 중인 자,
③B세포 면역요법 치료를 받은지 1년 이내인 자,
④겸상구빈혈 또는 헤모글로빈증, 지중해빈혈증으로 치료 중인 자,
⑤선천면역결핍증으로 치료 중인 자,
⑥폐이식 환자,
⑦고형장기 이식 후 1년 이내인 자 또는 최근 급성거부반응 등으로 면역요법 치료 중인 자,
⑧HIV감염환자,
⑨심각한 복합 면역 결핍증 환자,
⑩자가면역 또는 자가염증성 류마티스 환자,
⑪비장절제 환자, 무비증 또는 비장 기능 장애자,
⑫면역억제제 치료 중인 자
※ 의료기관에서 신속항원검사(RAT) 양성으로 확진받은 경우 집중관리군에서 제외되나,
본인 희망 시 또는 의료적 필요에 따라 집중관리군으로 전환 가능
<일반관리군>
집중관리군 외의 재택치료자
치료 안내
- 오미크론변이는 델타변이보다 중증도가 낮아 무증상·경증 확진자는 해열제·감기약 복용 등을 통해 회복이 가능합니다.
- 휴식과 안정을 취하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세요.
- 증상이 있을때는 진통해열제, 종합감기약 등을 복용하세요.
* 고위험군(①만 60세 이상, ②만 12세 이상 면역저하자, ③만 40세 이상 기저질환자)은 먹는치료제 투약 가능
- 발열 등 증상으로 진료가 필요하면, 전화 상담·처방이 가능합니다.
* 필요시 자차·방역택시 등 이용하여 외래진료센터에서 대면진료(예약)가 가능합니다.
격리 안내
- 검체채취일(PCR 검사일,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일)로부터 7일까지는 타인에게 전염시킬 위험이 있어 집에서 격리를 하게됩니다.
- 감염전파 방지를 위해 외출하지 말고 집에서 머물러 주세요.
가급적 화장실·물건 등은 동거인과 따로 사용하고 자주 소독하세요. - 격리는 검체채취일로부터 7일차 자정(24시)에 자동 해제되며, 해제 전 검사는 하지 않습니다.
* 증상발현 · 지속 등으로 의료진 판단에 따라 연장될 수 있습니다.
- 확진자의 동거인은 확진자 검사일로부터 3일 이내 PCR검사 1회, 6~7일차 신속항원검사 1회를 권고드립니다. 출근 또는 불가피한 외출을 해야 하는 경우, KF94(또는 이와 동급) 마스크를 상시 착용하고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합니다.
- 감염전파 방지를 위해 외출하지 말고 집에서 머물러 주세요.
대상자 안내문 보기
[확진자 및 동거인]
[집중관리군]
[일반관리군]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