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분야 누리집 - 서울특별시





		
		

	 
	
	

생태친화 어린이집

담당부서
영유아담당관 영유아정책팀
문의
02-2133-5095
수정일
2023.06.14

생태친화 어린이집은 무엇이 다른가요?

‘생태친화 어린이집’은 어린이집의 원장과 교사, 영유아, 부모가 함께 ‘생태친화 보육’을 실천하는 어린이집입니다. 생태친화 보육이란 유아숲 체험 등 자연친화적인 보육활동을 넘어 아이의 욕구를 중시하고 아이다움의 구현을 도와주는 보육입니다. 기존 보육과정에서 취약할 수 있는 자연경험, 놀이체험 그리고 교사와 부모의 인식변화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아이를 밝고, 천진난만하며, 활기찬 아이다운 아이로 기르고자 보육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노력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생태친화 보육은 아래에서 보듯이 보육의 관점, 어린이집 환경과 생활, 교사와 부모의 역할 등에서 기존 보육과정과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태친화 보육방향
행복한 아이
어른(교사, 부모) 관점, 어른 의도 관철

→ 아이다움, 아이주도

과도한 통제와 지침, 경쟁

→아이행복중심, 자율, 조화, 공동체

어린이집 환경
정해진 시간, 정해진 공간, 연령 구분, 정해진 교재교구

→ 여유로운 시간, 개방된 공간, 연령의 자연스런 통합, 자연물 놀잇감

어린이집 생활
지식·지능·이성 중시, 학습과 수업 중심 보육

→ 몸·오감·감성 중시, 놀이·체험 중시, 자연과 함께하는 보육

교사와 부모의 역할
교사의 과중한 업무부담, 부모의 과도한 요구와 불신

→ 자긍심을 가지는 교사, 함께 보육에 참여하는 부모

계절을 반영한 계획

컨설팅에서는 생태친화 보육과정에 따른 보육계획안을 작성하고 실천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생태친화 보육과정에서는 자연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계절의 변화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사계절의 날씨, 나무의 변화 등을 산책과 바깥놀이를 통해 경험하게 되고, 텃밭을 가꾸면서 제철음식을 수확하여 직접 먹어보는 등 사계절을 중심으로 아이들이 경험할 수 있는 내용으로 연간계획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특히, 이와 더불어 지난달 아이들의 흥미와 관심 등이 반영되며, 이 같은 계획은 교사가 아이들에 대해 좀 더 민감하게 살펴보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추웠던 날씨가 따뜻해지고, 푸르른 나뭇잎이 갈색 낙엽으로 바뀌는 계절의 변화는 아이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가깝게 경험할 수 있는 흥밋거리입니다.추웠던 날씨가 따뜻해지고, 푸르른 나뭇잎이 갈색 낙엽으로 바뀌는 계절의 변화는 아이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가깝게 경험할 수 있는 흥밋거리입니다.

생활의 중심을 실내에서 실외로

어린이집 아이들의 생활공간은 실내입니다. 그 중에서도 교실, 흥미영역 안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오전시간 산책이나 바깥놀이를 하더라도 30분 정도 어린이집 주변을 한 바퀴 도는 정도의 걷기 위주의 산책이나 짧은 바깥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바깥놀이를 원하는 만큼 하는 것, 계절과 주변의 변화를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산책을 경험하는 것, 모두 생활의 중심이 실외라면 가능합니다.

컨설팅에서는 산책 장소, 바깥놀이 등이 아이들 주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오전 산책이 오후에도 가능하고 하루에 2번도 3번도 나가 놀 수 있음을 안내합니다. 덕분에 우리 아이들의 생활 중심은 갑갑한 실내가 아닌 탁 트인 실외가 됩니다.

echo_friendly_05_01어린이집 내 공용공간은 함께 사용하는 공간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연령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일상적 만남과 소통을 통해 자연스럽게 관계의 통합이 이루어집니다.

자연채광이 강화된 보육실은 아이들에게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이 들게 합니다. 또한 놀이공간이 확대되어 아이들은 그 안에서 놀이의 확장과 소통이 가능합니다.

생태친화 보육 추진체계
- 생태친화 어린이집

 - 서울시, 시 육아종합지원센터, 시 유관부서, 자치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서울시, 시 육아종합지원센터, 시 유관부서, 자치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추진계획

2019년 4개 자치구(20개 어린이집) 선정을 시작으로, 2020년 10개 자치구(50개 어린이집), 2021년 12개 자치구(60개 어린이집)로 확대하였으며, 2022년부터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공동 프로그램으로 통합 지원합니다.

생태친화 어린이집 현황(‘23년)

연번

자치구

어린이집명

전화번호

1

동대문구

미드카운티어린이집

02-6713-1410

2

이문어린이집

02-969-2052

3

청솔어린이집

02-3394-5026

4

함께행복한어린이집

02-925-5123

5

해찬어린이집

02-6451-7942

6

동작구

노들어린이집

02-816-0107

7

상도어린이집

02-825-0505

8

삼성숲어린이집

02-821-5288

9

참사랑어린이집

02-582-2072

10

큰별어린이집

02-821-5288

지원사항

선정된 어린이집(1개구, 5개소)에 대해서는 놀이공간 등 생태관련 시설조성과 생태친화 보육 프로그램 개발 및 컨설팅 지원, 나아가 생태친화 보육을 확산하기 위한 교사와 부모들의 다양한 연구모임이나 공유활동까지 지원합니다.

시설조성 어린이집 내·외부 놀이공간 조성

  • 다양한 생태친화 보육이 가능한 텃밭, 산책로, 실내외 놀이터 조성
  • 인근 야산 및 텃밭, 너른 마당 등 어린이집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
생태 프로그램 운영 안내서 제공 및 컨설팅 지원

  • 서울시 생태친화 보육 안내서, 프로그램 개발 등 컨설팅 지원(월 1회)
  • 유아숲, 텃밭, 먹거리 개선, 에너지 절약 등 관련 市 생태 자원 연계
생태친화 보육 확산 교사 교육 및 우수사례 발굴 등 성과 공유

  • (선정 자치구) 생태보육 이해 증진, 소그룹 연구·교육 지원
    : 자치구별 보육교직원 「디딤돌 공동체」 조직, 부모 대상 교육 등
  • (전체 자치구) 생태친화 어린이집 추진상황 및 성과 공유·확산
    : 교육 및 워크숍, 안내서 공유, 우수사례 확산(성과보고회, 시설 참관 등)

『자연·놀이·아이 중심의 서울시 생태친화 어린이집 안내서, 서울특별시』 

 
더 많은 정보는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보육포털서비스(https://iseoul.seoul.go.kr) → 생태친화 보육
- 서울특별시 육아종합지원센터(http://seoul.childcare.go.kr) → 보육지원 → 서울시 생태친화 보육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