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서울시 공원녹지면적은 그간 대형공원 조성, 자투리땅 녹화 등을 통해 꾸준히 증가했지만, 초미세먼지 농도는 미세먼지, 열섬효과 등으로 경쟁도시보다 높은 수준임
②이에 서울시에서는 ‘도시숲 조성’을 환경 악화의 근원적인 해결책으로 보고 3천만 그루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추진
①전략 :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시민과 함께 식재
②목표 : 2022년까지 총 3천만 그루 식재
③실적 :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총 3,073그루 식재하여 조기 성과달성(목표량 대비 102.4% 초과)
(단위 : 만 그루)
연도 | 2014~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
목표 | 식재량 | 1,245 | 285 | 500 | 400 | 400 | 170 |
누적 | 1,245 | 1,530 | 2,030 | 2,430 | 2,830 | 3,000 | |
실적 | 식재량 | 1,255 | 282 | 877 | 494 | 165 | - |
누적 | 1,255 | 1,537 | 2,414 | 2,908 | 3,073 | - |
③실적 : 2014년부터 현재까지 총 30,315,848 그루 식재
※ ’19년 827만 그루를 식재하여 ’19년 목표량의 165% 초과 달성(누적 2,357만 그루 식재)
④기대효과 : 미세먼지와 도심온도는 낮추고, 산소농도는 높이는 나무심기
* 나무 1그루 = 연 35.7g 미세먼지 저감 / 평균 1㎡당 대기열 664kcal 흡수 / 연 1,799㎏ 산소 발생
* 경유차 1대 = 연 1,680g 미세먼지 발생 [출처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교통안전공단 등]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