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내용
01 시민의 에너지 살림으로 가치 실현 에너지 살림도시, 서울만들기('14.7~'20.12)
에너지 살림도시, 서울이란?
원전하나줄이기 2단계 사업의 새로운 명칭입니다.
시민과 함께 깨끗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절약하며, 효율을 높이는 서울시 에너지정책입니다.
서울의 에너지를 알뜰하게 ‘살림’하겠다는 의미와 시민의 삶과 미래세대, 타 지역의 주민까지도 ‘살리는’ 에너지정책을 의미합니다.
-
에너지 자립
- 에너지 외부 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 책임도시로 전환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
- 에너지 자립 과정을 통해 에너지 산업과 일자리 확대
-
에너지 나눔
- 에너지 생산 · 소비의 공평분배와 타 지역과 협력을 통한 상생
-
에너지 참여
- 에너지정책 수립 · 실천에 열린 에너지 거버넌스 구축
- 에너지 정보와 정책을 공개, 자발적 참여 시스템 마련
02 시민이 에너지 생산하고, 효율적으로 소비하는 에너지 자립도시, 서울
전력위기에 안전한 도시, 지역에 책임을 다하는 도시, 서울
총에너지 생산 · 절감 450만 TOE
2020년까지 전력자립률 20% 달성
온실가스 감축 1천1백만톤 CO2 eq
에너지 분산형 생산도시
서울의 에너지, 서울이 해결합니다.
- 시민햇빛발전으로 건강하고 깨끗한 전기생산
- 미니태양광 100만호, 햇빛발전 시민펀드, 서울의 옥상을 태양광으로!
- 서울형 건물 미니발전소 등 분산형 전원보급
- 아파트·빌딩 등 건물마다 전기·열 생산,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확보 위한 제도화
- 버려지는 에너지 적극 발굴 활용
효율적 저소비 사회구조
에너지 잘 쓰기도 생산입니다.
- 건축물 에너지 진단과 설계기준 강화
- 시장원리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화 투자의 주택가치 반영
- LED 빛 도시 서울, 공공시설 100% 도입
- 사람중심 에너지 절약형 교통환경 조성
- 자원을 절약하는 시민생활 문화 정착
- 기후에너지 지도 제작, 도시계획 단계 반영
혁신으로 좋은 에너지 일자리
련 산업을 키우면 에너지도 커집니다.
- 초록특별시, 서울형 녹색에너지 산업 육성
- G밸리 등 녹색클러스터 거점육성, 21세기형 도시에너지 특화기술 선도적 지원
- 에너지 생산·효율화 정책이 일자리로!
- 녹색에너지 사회적 기업·협동조합, 지역에너지 허브센터 전 자치구 구성
- 창업지원부터 기술개발, 판로확보까지
- 원스탑(One-stop) 생애주기별 맞춤형 녹색기업 지원제도 마련
따뜻한 에너지 나눔 공동체
시민의 에너지, 시민과 나눕니다.
- 취약계층 에너지 기본권 보장 및 지원
- 에너지 복지 플랫폼 구축, 에너지 빈곤층 실태 조사 및 효율화 지원, 에너지 복지 조례 제정
- '에너지수호천사단', '자립마을' 등 에너지 공동체 확산
- 에너지 절약 인센티브가 마을 에너지 사업에 재투자되는 선순환 생태계 조성
03 시민과의 약속, 시민과 함께
시민이 꿈꾸는 에너지 STORY, 함께하면 HISTORY가 됩니다.
- 미니태양광 100만호
등 시민이 생산하는
햇빛발전도시 - 신재생에너지, 분산형
전원 의무 도입
12%→20% 확대 - 건물 에너지 소비실태
투명 공개 및 맞춤형
저감모델 - 골목길 보안등,
가로등 LED로
100% 전환 - 승용차 마일리지 도입
- 시민이 능동적 참여하는
에너지 거버넌스 구축 -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에너지 전환 · 효율화 사업 - 마을단위 재활용정착과
어르신 일자리 창출 - 에너지 신산업,
서울시가 선도 - 에너지허브센터 서비스
분야 신규 일자리창출
04 대도시로서 책임을 다하는 서울 에너지 상생을 위한 지역 협력 네트워크 구축
각계각층의 시민과 함께 참여하는
에너지정책 총괄 거버넌스
에너지정책위원회
-
생산분과
- 태양광,연료전지 등
- 신재생에너지
-
수요관리분과
- 건물에너지효율화
- 수송·에너지
-
시민협력분과
- 에너지교육, 시민소통
- 에너지복지
- 에너지자립마을
-
서울시
에너지정책에 대한 자문 -
시민사회와
협력 · 연계 -
에너지분야
정책제안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